•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만2세 2학기 영아전담 어린이집 관찰일지 및 종합발달평가 (일상,놀이 관찰일지)
본 내용은
"
만2세 2학기 영아전담 어린이집 관찰일지 및 종합발달평가 (일상,놀이 관찰일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08
문서 내 토픽
  • 1. 일상생활
    OO가 벽에 제시된 불이 났을 때의 사진에 관심을 가지고 또래와 이야기를 나누었다. 불이 났을 때, 손으로 코와 입을 막고 대피해야 된다는 사실을 알고 이야기하였다. 우천으로 인해 소방대피훈련을 하지 못하여 내일 또는 내일모레로 미뤘다. OO가 먹고 싶은 간식부터 먹는 모습이 보였고 씨를 발라 포도를 먹을 수 있었고 교사에게 치즈 껍질 까는 것을 도와달라고 하여 치즈 껍질을 까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어 스스로 깔 수 있었다. OO가 소변이 마렵다며 변기에 앉은 OO가 소변을 보지 않고 친구와 장난치는 모습에 다른 친구들이 기다리고 있음을 알려주자 소변을 보고 내려온다, 옷을 입은 OO가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씻고 물을 흘리며 나가려는 모습에 핸드 타올을 떼어주자 손을 닦고 휴지통에 넣은 후 밖으로 나간다.
  • 2. 놀이활동
    OO는 그림카드 속 친구의 사진을 보며 친구의 이름을 이야기 한 뒤 얼굴, 이름 카드를 친구의 사진 밑에 붙인다. 선생님이 이름을 한 글자씩 가리키며 친구의 이름을 이야기하자 OO도 한 글자씩 손으로 가리키며 친구의 이름을 이야기한다. OO가 자연물 그림자료를 보다가 단풍잎을 가리키며 '빨강'이라고 이야기한다. 교사가 '빨간색 나뭇잎 이름은 단풍잎이에요.'라고 하자 'OO가 '단풍잎, 단풍잎.'하고 따라 한다. OO가 고개를 좌우로 움직인다. 교사가 '노래를 들으니 어떤가요?'라고 말하자 OO가 '노래가 좋아요.'라 말한다. OO가 '노래가 따뜻한 느낌이 들어요.'라고 말하자 OO가 '저는 노래가 부드러운 것 같아요.'라 말한다. 교사가 다시 '그렇군요. 노래를 들으니 무엇이 떠오르나요?'라고 말하자 OO가 '음, 꽃!'이라 말한다. OO는 '저는 꽃하고 나비요.'라 말한다.
  • 3. 2학기 종합발달평가
    그림자료 인쇄물에 관심을 가지고 탐색한다. 새로운 단어에 호기심을 가지고 알아가려는 모습을 보이며 교사가 이야기해주는 단어를 듣고 따라 이야기할 수 있다. 놀이 중 배변 의사가 느껴지는 경우 이를 곧바로 표현할 수 있다. 변기에서 스스로 배변할 수 있으며 배변 전/후 옷 입고 벗기를 스스로 시도할수 있다. 아직은 배변 시 소변이 흐르거나 묻는 경우가 있어 변기를 바르게 이용하는 방법을 반복해서 안내해 주어야겠다. 노래를 들으며 고개를 좌우로 움직이는 등 신체 움직임으로 느낌을 표현할수 있다. 노래를 듣고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즐기며 음악의 셈여림, 빠르기, 리듬 등을 탐색하고 떠오르는 느낌과 생각을 언어로 표현할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일상생활
    일상생활은 우리 삶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일상생활에는 식사, 수면, 위생관리, 운동 등 기본적인 활동들이 포함되며, 이러한 활동들은 우리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일상생활을 잘 관리하고 균형을 잡는 것은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규칙적인 수면과 균형 잡힌 식단은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며, 운동과 여가활동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적 안녕을 증진시킵니다. 또한 개인위생과 청결한 환경 관리는 질병 예방에 기여합니다. 따라서 일상생활에 대한 관심과 노력은 우리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놀이활동
    놀이활동은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놀이를 통해 아동은 신체적, 인지적, 사회정서적, 창의적 능력을 골고루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 신체적으로는 대소근육 발달과 운동 능력 향상, 인지적으로는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증진, 사회정서적으로는 또래 관계 형성과 감정 조절 능력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놀이는 아동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여 자발적인 학습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놀이 중심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사는 아동의 발달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다양한 놀이 활동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아동의 전인적 성장을 도모해야 할 것입니다.
  • 3. 2학기 종합발달평가
    2학기 종합발달평가는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상황을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개별 맞춤형 교육 계획을 수립하는 데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평가를 통해 교사는 아동의 신체, 인지, 언어, 사회정서, 창의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발달 수준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의 강점과 약점을 진단하고, 개별 아동의 특성에 맞는 교육 목표와 방법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모와의 상담을 통해 가정에서의 아동 양육 방식과 지원 사항을 공유하고 협력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2학기 종합발달평가는 아동의 전인적 성장을 위한 교육 계획 수립과 부모-교사 간 소통 증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평가 과정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