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자회로실험_홍익대_실험3
본 내용은
"
전자회로실험_홍익대_실험3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01
문서 내 토픽
-
1. 반파 정류회로반파 정류회로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입력 전압의 양의 반주기 또는 음의 반주기만을 출력으로 내보내는 회로로, 다이오드의 커트-인 전압으로 인해 출력 전압의 첨두값이 입력 전압의 첨두값보다 작게 나타난다. 입력 전압의 진폭이 다이오드의 커트-인 전압보다 작은 경우 출력 전압은 0이 되는 구간이 발생한다.
-
2. 양의 반주기 정류양의 반주기 정류에서는 입력 전압의 양의 반주기만을 출력으로 내보낸다. 입력 전압의 첨두값이 5V인 경우 출력 전압의 첨두값은 4.2V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다이오드의 커트-인 전압으로 인한 손실 때문이다.
-
3. 음의 반주기 정류음의 반주기 정류에서는 입력 전압의 음의 반주기만을 출력으로 내보낸다. 입력 전압의 첨두값이 -5V인 경우 출력 전압의 첨두값은 -4.2V로 측정되었는데, 이 역시 다이오드의 커트-인 전압으로 인한 손실 때문이다.
-
1. 반파 정류회로반파 정류회로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가장 기본적인 정류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한 개의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교류 전압의 한 반주기만을 통과시켜 직류 전압을 생성합니다. 이 방식은 단순하고 구현이 쉽지만, 정류 효율이 낮고 리플 전압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응용에서는 전압 변동이 크거나 전력 요구량이 높지 않은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 배터리 충전기, 전자 기기의 전원 공급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2. 양의 반주기 정류양의 반주기 정류 회로는 교류 전압의 양의 반주기만을 통과시켜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이 회로는 두 개의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구현되며, 반파 정류 회로에 비해 정류 효율이 높고 리플 전압이 작습니다. 따라서 전압 변동이 작고 전력 요구량이 높은 응용 분야에 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 모터 드라이버, 전자 기기의 전원 공급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회로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3. 음의 반주기 정류음의 반주기 정류 회로는 교류 전압의 음의 반주기만을 통과시켜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이 회로는 양의 반주기 정류 회로와 유사하게 두 개의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구현됩니다. 음의 반주기 정류 회로는 양의 반주기 정류 회로와 마찬가지로 정류 효율이 높고 리플 전압이 작습니다. 따라서 전압 변동이 작고 전력 요구량이 높은 응용 분야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 모터 드라이버, 전자 기기의 전원 공급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회로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홍익대학교 전자회로실험 실험3 반파정류회로 예비보고서 8페이지
1. 실험목적반파정류회로의 특성을 조사한다.2. 실험내용-필터 회로가 없는 경우(1)그림 4-10의 회로를 결선한다.(2)트랜스 2차측에서i) Vrms를 전압계로 측정한다.24Vrmsii) VP.P를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한다.VP.P=2*24*sqrt(2)=67.9Viii) 스코프로 측정한 VP.P를 Vrms값으로 변환한다.Vrms=VP.P/2sqrt(2)=24V(3) i)부하저항 RL양단 전압의 최대값 VP를 계산한다.VP=VP.P/2=33.95Viii) 최대전류 IP를 계산한다.IP=VP/RL=33.95mA3.결론다이오드를 응용해...2020.01.06· 8페이지 -
홍익대학교 전자회로실험 실험3 브리지 전파정류회로 예비보고서 7페이지
1.실험목적다이오드 브리지 회로를 사용한 전파 정류회로의 특성을 조사한다.2.실험내용-브리지 전파정류회로 (1)그림 6-9의 회로를 결선한다.실험장비 특성을 고려하여 Vp=9V로 하였다. (2)Vpp와 Vrms를 측정한다. Vpp=9*2=18V , Vrms=9/√2=6.36V (3)부하에서 Vp를 계산한다.Vp=7.64V 부하에서의 파형은 정편파입력을 모두 플러스로 출력한다. 이때 원래파형안쪽으로 조금 파고드는 것은 다이오드의 턴온전압을 정현파가 넘어서야 하기때문이고 턴온된 다이오드는 어느정도 전압 을 쥐기 때문이다. (4)Ip를 ...2020.01.06· 7페이지 -
홍익대학교 전자회로실험 실험3 전압분배바이어스회로 & 공통에미터 증폭기 예비&결괴보고서 27페이지
-전압분배 바이어스 회로 -실험목적전압 분배 바이어스 회로의 직류 특성을 조사한다.-실험순서1.전압분배 바이어스 회로(베이스 저항이 있는 경우) (1) 그림 10-3의 회로를 결선한다.< 중 략 >(5) 측정된 VB, VR2의 전압을 사용하여 VR1, VRB, VRE를 계산한다. => VR1=VCC-VR2=24-4.22=19.78V (이론값) => VR1=VCC-VR2=24-4.24=19.76V (실험값) => VRB=VR2-VB=0.61V (이론값) => VRB=VR2-VB=0.495V (실험값) => VRE=VB-VE=3.61-...2020.01.07· 27페이지 -
홍익대학교 전자회로실험 실험3 공통 게이트 증폭기 & 트랜지스터 스위치 결과&예비보고서 12페이지
-실험목적N채널 2전원 바이어스된 공통 게이트 JFET 증폭기의 직류 및 교류특성을 조사한다.-실험순서1. 2전원 바이어스 공통 게이트 증폭기(1) 그림 18-4의 회로를 결선한다-결론이번 실험은 이번 학기 마지막 실험이고, 가장 큰 오차를 보이고 있다. 실험값들을 잘 보면 이론값들과 추이는 비슷하나 이론값에서 일정 값씩 shift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회로의 직류 바이어스 전압측정은 이론값과 유사하게 측정 되었기 때문에 아무래도 증폭에 대한 오차는 기본적으로 저항값이 다르다는 점과 커패시턴스에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나 커패시터...2020.01.06· 12페이지 -
홍익대학교 전자회로실험 실험3 공통콜렉터 & 공통베이스 증폭기 예비보고서 17페이지
- 전압분배 바이어스 공통 콜렉터 증폭기 -실험목적Npn 전압분배 바이어스 공통 콜렉터 증폭기의 직류 및 교류 파라미터를 조사한다.-실험순서(1) 그림 12-5의 회로를 결선한다.[그림 12-5] =>트랜지스터:2N3904 (2) 회로내 직류전압 등을 계산 및 측정하여 표에 기입한다.(2) 회로내 직류전압 등을 계산 및 측정하여 표에 기입한다.=>직류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회로-결론 커먼 에미터 증폭기와 흡사하게 Vbe의 변화로 출력을 뽑아내는 형태이기에 게인 은 위상만 다르고 아웃풋 임피던스는 같다. 하지만 뚜렷한 차이는 입력 임피...2020.01.07· 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