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SI 모델과 TCPIP 모델의 각 계층 기능 비교
본 내용은
"
OSI 모델과, TCPIP 모델의 각 계층의 기능을 정리하고 비교하여 설명하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22
문서 내 토픽
-
1. OSI 모델OSI 모델은 ISO와 IEC의 합동 기술 위원회인 JTC1에서 1983년 공식적으로 표준화해 발표한 개방형 시스템 사이의 상호 접속을 위한 표준 지침입니다. OSI 모델은 네트워크를 7개의 계층으로 구분해 계층에 따른 기능과 프로토콜에 관해 규정했습니다. OSI 모델의 7계층은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2. TCP/IP 모델TCP/IP 모델은 네 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가장 아래 계층은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으로 OSI 참조모델의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을 포함합니다. 그 위에는 IP 계층, 전달계층, 응용 계층이 있습니다. IP 계층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전달계층은 종단 사이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응용 계층은 사용자에게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
3. OSI 모델과 TCP/IP 모델 비교OSI 모델과 TCP/IP 모델은 계층 구조가 다릅니다. OSI 모델은 7계층, TCP/IP 모델은 4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OSI 모델의 응용 계층, 표현 계층, 세션계층은 TCP/IP 모델의 응용 계층에 해당하고, OSI 모델의 전송 계층은 TCP/IP 모델의 전송 계층에 해당합니다. OSI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은 TCP/IP 모델의 IP 계층에 해당하며,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과 물리 계층은 TCP/IP 모델의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에 해당합니다.
-
1. OSI 모델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표준화된 7개 계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모델은 네트워크 장비 및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고, 네트워크 설계와 구현을 체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각 계층은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며,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OSI 모델은 네트워크 문제 해결, 교육, 표준화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TCP/IP 모델이 더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2. TCP/IP 모델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모델은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4계층 구조의 네트워크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OSI 모델보다 간단하고 실용적이며, 실제 네트워크 구현에 더 적합합니다. TCP/IP 모델은 인터넷의 기반이 되는 프로토콜들을 정의하고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전송, 인터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4개 계층으로 구성됩니다. 이 모델은 실제 네트워크 구현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
3. OSI 모델과 TCP/IP 모델 비교OSI 모델과 TCP/IP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표준화된 모델이지만, 계층 구조와 프로토콜 구현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OSI 모델은 7개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더 세부적이고 이론적인 접근을 취하지만, 실제 구현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반면 TCP/IP 모델은 4개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더 간단하고 실용적이며, 실제 인터넷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두 모델 모두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중요한 개념을 제공하지만, TCP/IP 모델이 실제 구현에 더 적합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따라서 OSI 모델은 이론적 이해를 위해, TCP/IP 모델은 실제 구현을 위해 활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