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간호학 CASE STUDY -뇌전증, 경련, 발작, 발달장애, 레녹스 가스토 증후군(LGS) /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 CASE STUDY -뇌전증, 경련, 발작, 발달장애, 레녹스 가스토 증후군(LGS) /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14
문서 내 토픽
-
1. 발작과 관련된 상해의 위험대상자의 입원 사유가 뇌전증 발작이며, 기존 양상과 다른 새로운 발작(눈이 오른쪽으로 돌아가고, 다리를 떠는 양상)이 발생한 상태이다. 또한 대상자는 발달장애로 인해 인지, 운동기능이 저하되어 있고 항전간제를 복용하고 있어 낙상 고위험군으로 신체 손상의 위험이 높다. 따라서 우선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 불균형_신체 요구량보다 적음대상자는 성장곡선 상 신장이 122.3cm로 25~50 percentile 미만이고, 체중이 18.3kg로 3 percentile미만, BMI가 12.23으로 저체중이며 5percentile 미만이다. 영양불량 고위험군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대상자가 끼니를 거르거나, 제공된 식사의 1/3만 섭취하는 등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영양관리가 필요하다.
-
3. 발달장애로 인한 운동기능 저하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대상자는 발달장애로 인해 운동기능이 저하되어 있고 근력이 감소하여 이동, 보행이 어려운 상태이다. 이는 신체 손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도 큰 제약을 받게 되므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1. 발작과 관련된 상해의 위험발작은 신경학적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일시적인 증상으로,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상해의 위험은 매우 심각합니다. 발작 환자는 의식 소실, 근육 경련, 불수의적 움직임 등으로 인해 넘어지거나 부딪힐 위험이 높습니다. 이로 인해 골절, 타박상, 화상 등의 상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작 중 기도 폐쇄로 인한 질식 위험도 있습니다. 따라서 발작 환자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보호가 필요하며, 발작 예방을 위한 약물 치료와 함께 안전한 환경 조성이 중요합니다. 또한 가족과 주변인들의 이해와 협조가 필수적입니다.
-
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 불균형_신체 요구량보다 적음식욕부진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영양 불균형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신체 요구량보다 적은 영양 섭취는 체중 감소, 근육 소실, 면역력 저하, 장기 기능 저하 등의 문제를 야기합니다. 특히 성장기 아동이나 노인의 경우 영양 불균형이 더욱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욕부진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영양 관리가 필요합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개인의 특성과 상황에 맞는 영양 공급 계획을 수립하고, 식사 보조제 섭취, 식사 환경 개선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근본 원인 해결을 위한 치료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
3. 발달장애로 인한 운동기능 저하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발달장애로 인한 운동기능 저하는 신체 기동성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 사회 활동, 독립성 등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운동기능 저하는 근력 약화, 균형 및 협응 능력 저하, 관절 가동범위 제한 등의 문제를 야기합니다. 이는 걸음걸이, 이동, 자세 유지, 물건 조작 등의 기본적인 동작에 어려움을 줍니다. 따라서 발달장애 아동 및 성인에 대한 체계적인 재활 치료와 보조기기 지원이 필요합니다. 물리치료, 작업치료, 보조기기 훈련 등을 통해 기능 향상과 독립성 증진을 도모해야 합니다. 또한 가족과 사회의 이해와 지원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