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개
-
중환자실 혈역학적 감시2025.02.261. 중환자실 혈역학적 감시 1.1. 혈역학 감시 측정 지표 1.1.1. 동맥 내 카테터 동맥압을 측정하기 위해 말초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지속적으로 혈압을 모니터링한다. 1회 박출량이 감소하여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혈압 측정이 부정확한 경우에 침습적인 방법으로 동맥압을 측정하여 정확한 혈압을 반영할 수 있다. 정상 혈압은 120/80mmHg이다. 동맥 카테터는 주로 요골동맥이나 상완동맥에 삽입하며, 삽입 전 반드시 알렌검사를 시행하여 측부 순환 상태를 확인한다. 동맥라인 삽입 부위를 주기적으로 관찰하여 출혈, 허혈, 감염 ...2025.02.26
-
수혈관리2024.10.281. 수혈 관리 지침 1.1. 목적 수혈환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적정한 시간에 혈액이 수혈되고 수혈 시 환자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수혈환자 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혈은 의료현장에서 필수적인 치료방법 중 하나로, 과다한 출혈, 빈혈, 혈액성분 결핍 등 다양한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수혈은 부작용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관리와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지침의 목적은 안전한 수혈 절차와 수혈환자 관리를 통해 수혈 중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2024.10.28
-
지침2024.10.311. 감염관리 1.1. 격리주의 지침 1.1.1. 격리의 정의 격리란 감염자나 보균자 또는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다른 환자나 직원이 감염되거나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취하는 여러 가지 보호조치를 의미한다. 표준주의와 전파경로별 주의지침을 적용하여 병원 내 감염 전파를 차단하는 것이 격리의 목적이다. 격리는 넓은 의미에서 감염의 전파를 막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며, 좁은 의미로는 병원체를 제한하여 전파를 줄이는 일반격리와 감수성이 약한 대상자를 일반 환경의 병원체로부터 보호하는 보호격리 또는 역격리로 구분된...2024.10.31
-
헌혈 증진 방안2024.10.161. 혈액관리법 1.1. 목적 및 정의 이 법은 혈액관리업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수혈자와 헌혈자(獻血者)를 보호하고 혈액관리를 적절하게 하여 국민보건의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혈액"이란 인체에서 채혈(採血)한 혈구(血球) 및 혈장(血漿)을 말한다. "헌혈자"란 자기의 혈액을 혈액원에 무상(無償)으로 제공하는 사람을 말한다. "혈액원"이란 혈액관리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6조제3항에 따라 허가를 받은 자를 말한다. "혈액관리업무"란 수혈(輸血)이나 혈액제제(...2024.10.16
-
농축적혈구 수혈 목적2024.11.031. 수혈의 정의와 목적 1.1. 수혈의 정의 수혈(Blood transfusion)은 공여자(donor)로부터 수혜자(recipient)에게 전혈이나 혈장, 적혈구, 혈소판 등과 같은 혈액의 특정 구성성분을 정맥내로 투여하는 것을 말한다. 혈액은 혈구와 혈장으로 구성되며,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분된다. 혈액에서 혈구 성분을 제외한 성분을 혈장이라고 한다. 1.2. 수혈의 목적 수혈의 목적은 질병, 외상, 수술 등으로 인해 출혈이 발생하여 혈액이 부족해질 때 인체의 기능과 생명 보존을 위해 혈액을 보충하기 위한 것...2024.11.03
-
산후 출혈2025.04.091. 산후출혈의 정의와 유형 1.1. 조기 산후출혈 (원발성 산후출혈) 조기 산후출혈 (원발성 산후출혈)은 분만 후 첫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출혈이다. 이는 임신 중 4-6%에서 발생하며, 그중 80%가 자궁이완증과 관련되어 있다. 조기 산후출혈은 대부분 정상 질식분만의 경우 600ml, 제왕절개 분만의 경우 1000ml 정도의 혈액 손실이 발생하지만, 대부분의 산모가 이를 잘 견뎌낸다. 하지만 1500ml 이상일 경우에는 매우 위중한 것으로 간주된다. 산후출혈은 산모의 5-10% 정도에서 발생하며, 감염을 초래하거나 산모...2025.04.09
-
수혈2025.07.101. 수혈 1.1. 수혈의 정의 수혈은 건강한 사람에게서 채취한 혈액을, 혈액이나 그 성분이 부족한 환자(외상이나 수술로 인한 다량의 실혈, 용혈성 질환과 같이 혈액의 성분을 파괴하는 질환과 백혈병이나 혈우병과 같이 혈액 내 필요한 성분을 만들지 못하는 질환 등 여러 가지 이유)의 혈관 내에 주입하는 치료 방법이다. 수혈요법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생명을 위협하는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는 ABO부적합의 우려와 최근 급증하는 혈액을 통한 질병전파의 우려 때문이다. 1.2. 수혈의 목적 질병이나 손상으...2025.07.10
-
수혈2025.04.011. 수혈 1.1. 수혈의 정의 수혈이란 건강한 사람에게서 채취한 혈액을, 혈액이나 그 성분이 부족한 환자(외상이나 수술로 인한 다량의 실혈, 용혈성 질환과 같이 혈액의 성분을 파괴하는 질환과 백혈병이나 혈우병과 같이 혈액 내 필요한 성분을 만들지 못하는 질환 등 여러가지 이유)의 혈관 내에 주입하는 치료 방법이다. 수혈요법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생명을 위협하는 후유증을 초래하는 ABO부적합의 우려와 최근 들어 급증하는 혈액을 통한 질병전파의 우려 때문이다. 1.2. 수혈의 목적 질병이나 손상으로...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