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2개
-
psvt2025.02.22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PSVT)은 구조적 심질환의 유무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흔한 빈맥성 부정맥이다. PSVT는 심실성 부정맥보다는 치명도가 낮지만 가슴 두근거림,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흉통, 현기증, 실신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자주 재발할 경우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해한다. 대부분의 PSVT는 회귀 기전에 의해 발생하며 고주파 전극도자절제술(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RFCA)로 발생 원인...2025.02.22
-
간호 내러티브2025.01.061. 심근경색증 1.1. 심근경색증의 진단 1.1.1. 심전도 검사 심전도 검사는 심근경색증을 진단하는 핵심적인 검사이다.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 것으로, 심근경색증 발생 시 특징적인 변화를 보인다. 급성 심근경색증이 발생하면 심전도 상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확인되는데, 이는 경색 부위의 심근이 비가역적으로 손상되었음을 나타낸다. 특히 전벽 심근경색의 경우 V1-V4 유도에서 뚜렷한 ST 분절 상승이 관찰된다. 반면 후벽 심근경색은 II, III, aVF 유도에서 ST 분절 상승이 나타난다. 이러한 ST 분절 상...2025.01.06
-
협심증케이스 문헌고찰 중요하게 간호진단3개2024.12.051. 서론 1.1. 문헌고찰 1.1.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협심증(angina pectoris)은 가역적인 심근세포 손상에 의한 심근의 국소적이거나 일시적인 심근허혈의 결과이며, 갑작스런 흉통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적인 증후군이다"" 심근의 산소요구와 공급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며, 관상동맥질환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심근허혈과 협심통은 심근의 산소공급 저하와 심박출량 증가로 인한 심장의 과부담이 흉통을 유발한다"" 발생요인으로는 첫째, 심근의 산소공급 저하 요인이다"" 이는 혈관요인(관상동맥의 협착 및 폐색, 관상동...2024.12.05
-
Bradycardia 간호진단2024.08.301. 동성서맥(Sinus Bradycardia) 1.1. 정의 및 특징 동성서맥(Sinus Bradycardia)은 정상 동률동에서 심박동수가 분당 60회 미만으로 느린 것을 의미한다. 동결절에서 발생하는 정상 동율동일 경우 심장의 전기적 자극원이 동방결절이며 그로부터 심실로 원활하게 전달되어 규칙적인 심박동이 유지된다. 그러나 동결절의 기능이 떨어지거나 자율신경계의 변화, 약물 등의 요인으로 인해 심박동수가 감소하게 되면 동성서맥이 나타난다. 동성서맥은 노인층에서 흔히 관찰되며,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치료 없이 경과관찰이 가...2024.08.30
-
심방세동 심방조동 사례 연구2025.01.08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위치 및 구조 심장은 몸의 중앙 부위인 종격동에 위치하며, 무게가 약 250~300그램으로 지홍력을 발휘하는 근육기관이다. 심장은 좌우로 치우친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 약 2/3가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은 횡경막 위에 자리잡고 있으며, 심첨(Apex)은 좌측 제5늑간 부위와 중앙 쇄골선이 만나는 곳에 위치한다. 한편 심저(Base)는 제3늑간 부위에 위치하며,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이 유입되는 곳이다. 심장은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가장 바깥층은 심외막(Epicardium...2025.01.08
-
CAOD환자에게 내릴 수 있는 간호진단과 그 근거를 모두 적어줘2024.12.041. 관상동맥폐쇄성질환(Coronary Artery Obstructive Disease) 1.1. 정의 관상동맥폐쇄성질환은 심근 관류량 유지를 위한 혈액의 요구량과 공급량의 불균형상태로, 약한 관상혈관으로 인해 심근조직으로 가는 산소와 영양소의 결핍이 발생하여 협심증(일시적 심근허혈) 및 심근경색(지속적 허혈로 인한 심근세포 손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1.2. 원인과 위험요인 관상동맥폐쇄성질환의 원인과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관상동맥폐쇄성질환의 주요 원인은 관상동맥 내에 죽상경화성 병변이 진행되어 혈관이 좁아지거나 폐...2024.12.04
-
고칼륨혈증 간호진단2024.09.041. 부정맥 1.1. 정의 심장이 불규칙한 리듬이나 비정상적인 심박동수를 갖는 것을 부정맥(arrhythmia)이라고 한다. 정상적인 맥박은 심장 내에 위치하는 동방 결절(S-A node)에서 발생한 전기적 자극에 의해서 심방이 규칙적으로 수축할 때 일어나며, 이 맥박 수는 신경 및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다. 정상적인 맥박 수는 분당 60∼100회로 규칙적이며, 이를 동성 맥박이라고 한다. 1.2. 원인과 병태생리 부정맥의 원인과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성 장애이다. 동방결절은 정상적으로 분당 60-100회의 박동을...2024.09.04
-
심폐소생술2025.02.161. 서론 1.1. 심폐소생술의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장의 활동이나 호흡이 갑자기 정지되는 동안에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응급으로 행하는 시술로, 심정지 후 3~4분 이내에 심장에 압박을 가하여 효과적인 심박을 유지하면서 뇌 대사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량을 가지도록 폐호흡을 적절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기도 확보, 인공호흡, 순환유지 등 응급처치를 하는 것이다. 현대적 개념의 심폐소생술이 도입되었을 때에는 심정지 환자를 회생시키기 위해 행하는 인공호흡과 흉부압박만을 뜻하였으나, 점차 치료방법이 발달하면서 전문인이 행하는 제세동, 약...2025.02.16
-
심근경색 급성통증2024.09.061. 심근경색증의 정의 및 병태생리 1.1. 심근경색증의 정의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심근으로의 혈류가 갑자기 차단되어 심근에 괴사를 일으키는 질환으로써 죽상경화증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의 하나이다. 흔히 이를 심장발작(heart attack)이라 한다. 관상 동맥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여 심장의 기능을 유지하게 된다.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막힘으로써 그 혈관이 공급하는 심장 근육이 손상을 입는 상태를 말한다. 심근조직이 부분적으로 괴사되는 과정으로 세포가 불가역적인 사망을 일으킨 결과로 나타난다. 관상동맥에 혈...2024.09.06
-
저나트륨혈증 응급실2024.08.291. 부정맥 1.1. 정의 심장이 불규칙한 리듬이나 비정상적인 심박동수를 갖는 것을 부정맥이라 정의한다. 정상적인 맥박은 심장 내에 위치하는 동방 결절(S-A node)에서 발생한 전기적 자극에 의해서 심방이 규칙적으로 수축할 때 일어나며 이 맥박 수는 신경 및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다. 정상적인 맥박 수는 분당 60∼100회로 규칙적이며 이를 동성 맥박이라고 한다. 1.2. 원인과 병태생리 부정맥(arrhythmia)의 원인과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성 장애는 동방결절이 첫 박동을 생성하지 못하면 하위조직이 잠재...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