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7개
-
전기기초수학2025.04.161. 삼각함수 1.1. 삼각비의 정의 직각삼각형의 한 예각(B)이 결정되면 임의의 2변의 비는 삼각형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이들 비를 그 각의 삼각비라 한다. 사인(sine)은 빗면에 대한 높이의 비이며, 코사인(cosine)은 빗면의 대한 밑변의 비이다. 탄젠트(tangent)는 밑면의 대한 높이의 비이다. 구체적으로 삼각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사인(sin B) = 높이 / 빗면 = b / c 코사인(cos B) = 밑면 / 빗면 = a / c 탄젠트(tan B) = 높이 / 밑면 = b / a 이러한 삼각비는...2025.04.16
-
의료기기 속 수학, 의학 속 수학2025.06.051. 서론 1.1. 의료기기 속 수학 MRI는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을 뜻하는 의료기기로, 인체를 자장이 형성되어있는 커다란 통에 눕힌 후 고주파를 발생시켜 인체 내 수소원자핵의 반응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모아 컴퓨터로 계산하여 인체의 모든 부분을 단면 및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하여 질병의 유무를 진단하는 검사이다. MRI 검사 결과 해석 프로그램에서는 삼각함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체에 발사되는 전자기파의 파동을 제어하고 인체에서 반응되어 나오는 전자기파의 파동을 측정하여 영상으로 전...2025.06.05
-
고1 수학 주제 탐구 보고서2024.10.041. 삼각함수의 특징과 코사인 법칙 1.1. 코사인 법칙의 유도 과정과 다양한 증명법 코사인 법칙의 유도 과정과 다양한 증명법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유클리드의 《원론》에서부터 피타고라스와 피티스쿠스 등의 수학자들이 고대부터 코사인 법칙을 다양한 방식으로 증명해왔다. 먼저 유클리드는 《원론》에서 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와 두 변이 이루는 각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코사인 법칙의 개념을 보여주었다. 그는 삼각형 ABC에서 변 a, b, c와 각 A, B, C 사이의 관계를 기하학적으로 설명하여 코사인 법칙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2024.10.04
-
혈흔패턴분석 삼각함수2025.05.211. 서론 1.1. 혈흔패턴분석의 과학수사적 의의 혈흔패턴분석은 범죄 현장에서 발견된 피흔의 분석을 통해 범행 상황을 재구성하고 범인의 신원과 행위를 추정할 수 있는 과학수사 기법이다. 피흔의 모양, 크기, 분포 등의 특성을 분석하여 피의 분출 각도와 시작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범죄 상황을 구체적으로 밝혀내어 범죄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혈흔패턴의 수학적 분석은 법정에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증거로 활용될 수 있어, 혈흔패턴분석은 과학수사의 핵심 기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처럼 혈흔패턴분석은 범죄 수사에서 중...2025.05.21
-
복소평면2025.06.101. 허수의 특징과 유래 1.1. 허수의 개념 허수의 개념은 실수가 아닌 복소수를 의미한다. 허수 단위는 제곱하여 -1이 되는 수로, 영어로는 imaginary number로 불린다. 복소수는 a+bi의 형태를 가지며, a는 real Z라 불리는 실수부분을, b는 imaginary Z라 불리는 허수부분을 나타낸다. 허수를 처음 발견한 사람은 이탈리아 수학자 카르다노이다. 그는 '두 수의 합이 10, 곱이 40이 되게하라.'라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근이 음수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당시 수학자들이 음수의 제곱근을 인정하...2025.06.10
-
복소평면2025.06.101. 서 론 1.1. 복소수의 개념 및 역사 복소수는 실수가 아닌 수를 의미하며, 제곱하여 -1이 되는 수를 허수 단위라 하고 이를 i로 칭한다. 영어로는 imaginary number로 불리며, a+bi의 꼴일 때 b가 0이 아니면 이를 허수라고 부른다. 여기서 a는 real Z라 불리며 실수부분을 나타내고, b는 imaginary Z로 불리며 허수부분을 나타낸다. 허수는 이탈리아 수학자 카르다노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카르다노는 "두 수의 합이 10, 곱이 40이 되게하라."라는 문제를 풀기 위해 노력하다가 결국 √(-1...2025.06.10
-
의료기기 속 수학, 의학 속 수학2024.08.281. 의학기기에 활용되는 수학원리 1.1. MRI에서 사용되는 수학 1.1.1. MRI 결과 해석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삼각함수 MRI 결과 해석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삼각함수는 MRI 검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MRI 검사는 우리 몸 속 H2O 중 수소원자의 반응을 이용하는 것으로, 파동을 가진 전자기파를 쐬면 우리 몸 안의 수소원자가 핵자기공명 현상을 일으켜 파동이 있는 전자기파를 방출하게 된다. 이때 인체에 발사되는 전자기파의 파동을 제어하고 인체에서 반응되어 나오는 전자기파의 파동을 측정하여 영상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 ...2024.08.28
-
의료기기 속 수학2024.08.301. 의학기기와 수학 1.1. MRI에서 사용되는 수학 1.1.1. MRI 결과 해석 프로그램의 삼각함수 활용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우리 몸 속 H2O 중 수소원자의 반응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파동을 가진 전자기파를 쐬면 우리 몸 안의 수소원자가 핵자기공명 현상을 일으켜 파동이 있는 전자기파를 방출하게 된다. 인체에 발사되는 전자기파의 파동을 제어하고 인체에서 반응되어 나오는 전자기파의 파동을 측정하여 영상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 삼각함수를 탑재한 컴퓨터...2024.08.30
-
수학탐구보고서 제곱근2025.06.251. 서론 제곱근의 의미와 역사적 발견 제곱근은 하나의 수를 자신 자신과 곱하여 얻어지는 수를 의미한다. 실수의 경우, 모든 양수에 대해 제곱근이 존재하지만 음수의 경우에는 제곱근이 정의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탈리아 수학자 카르다노는 음수의 제곱근을 최초로 계산하였다. 카르다노는 '두 수의 합이 10, 곱이 40이 되게 하라'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제곱근 개념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그는 이 문제를 풀어내었고, 결과적으로 음수의 제곱근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처럼 제곱근의 개념은 수학의 발전 과정에...2025.06.25
-
푸리에 변환을 이용해 뇌파를 분석해보세요2025.05.291. 서론 1.1. 푸리에 변환이 의학기기에 활용되는 원리 푸리에 변환이 의학기기에 활용되는 원리이다. 푸리에 변환은 시간에 따른 함수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하는 수학적 방법이다. 이를 통해 복잡한 파동도 단순한 사인 곡선의 중첩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푸리에 변환의 특성은 의학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대표적으로 MRI 검사에서 푸리에 변환이 활용된다. MRI는 인체의 수소 원자가 핵자기공명 현상을 일으켜 방출하는 전자기파를 측정하여 영상으로 구현한다. 이때 인체에 발사되는 전자기파의 파동을 제어하고 인체에...2025.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