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9개
-
정형외과 의학용어2024.11.131. 의학용어 및 약어 1.1. 구조 및 기능 1.1.1. 척추기둥 및 척추의 구조 척추기둥 및 척추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척추기둥은 경추(C1~C7), 흉추(T1~T12), 요추(L1~L5), 천골(sacrum), 미골(coccyx)로 구성된다. 경추는 목 부분에 해당하며 7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다. 흉추는 가슴 부분으로 12개의 척추골로 구성되어 있다. 요추는 허리 부분으로 5개의 척추골이 있다. 천골은 골반 부분으로 5개의 척추골이 융합되어 있으며, 미골은 천골 아래에 위치한 4~5개의 작은 척추골이 융합된 부분이다....2024.11.13
-
거북목회복을위한 수기요법및운동요법2024.11.141. 거북목 교정을 위한 수기요법 및 운동요법 1.1. 정상목, 일자목, 거북목 정상목은 목의 앞뒤 굴곡이 적절하게 유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기준선이 머리중심선과 경추 극돌기와 일치하며, 최소한의 근육작용만으로도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일자목은 본래 자연스럽게 유지되는 경추 커브가 사라진 일자형 경추로, 커브가 감소하면서 경추와 척추에 더 큰 무게가 전달되어 피로감을 준다. 거북목은 앞으로 쏠린 목과 머리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목을 더 앞으로 기울이고 등을 구부린 상태이다. 이러한 일자목과 거북목은 습관을 통해 더욱...2024.11.14
-
생리학2024.10.111. 서론 1.1. 생리학의 개념 생리학(physiology)은 생명체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활동을 어떻게 수행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리학은 생명체의 구조와 기능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생명 현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제공한다. 특히 인체의 각 기관과 조직이 어떻게 작용하여 생명을 유지하는지,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신체 전체가 어떻게 조절되고 통합되는지를 밝혀내는 것이 주된 연구 대상이다. 생리학은 생명체의 구조-기능 관계를 규명하여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운동 및 스포츠 과학, ...2024.10.11
-
정형외과 교육자료2024.10.311. 정형외과 해부생리 1.1. 뼈의 형성 태아기의 초자연골모형 model 이 조골세포 osteoblasts 에 의해 덮인다. 연골성 뼈를 골성 뼈가 덮고 가운데 초자연골이 흡수되어 골수강이 나타난다. 태아기의 초자연골모형이 남아있는 형태로 관절연골, 골단판이 있다. 관절표면의 마찰을 줄이고, 골단판은 장골의 길이성장을 하게 된다.""이다. 1.2. 뼈의 성장 뼈의 성장은 키와 몸무게가 증가될 때 뼈의 정상적인 비율과 장력을 유지시키는데 필수적이다. 뼈의 길이성장과 두께성장은 거의 동일한 비율로 이뤄지기 때문에 장골의 둘레가 넓어...2024.10.31
-
몸매만들기2024.10.191. 신체 부위별 운동 1.1. 그립의 종류 그립의 종류는 운동 종류에 따라 바를 잡는 방법이 다양하며, 다음과 같다. ① 언더 그립(under grip)은 바를 잡을 때 손바닥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상완이두근을 강조한 운동에 효과적이다. ② 리버스 그립(reverse grip)은 바를 잡을 때 손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상완이두근의 내측면을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③ 오버 그릴(over grip)은 바를 잡을 때 손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상완삼두근을...2024.10.19
-
거북목회복을위한 수기요법및운동요법2024.10.241. 거북목 회복을 위한 수기요법 및 운동요법 1.1. 서론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 이후 사람들이 어디서나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면서, 휴식시간은 물론이고 길을 걸을 때도 앞을 보지 않고 스마트폰을 본 자세로 보행하여 행인끼리의 부딪힘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스마트폰을 보기 위해 폰을 손에 들고 대체로 고개를 숙이는 자세를 취하기 마련이다. 고개를 숙이고 있는 자세는 경추와 척추에 무리를 주며, 장기간 이러한 자세를 취하게 되면 배열이 틀어져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경추는 우리 몸에서 머리를 지탱하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2024.10.24
-
거북목 회복을 위한 운동요법2024.10.231. 거북목 및 재활운동 1.1. 거북목 개요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 이후 사람들이 어디서나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면서, 휴식시간은 물론이고 길을 걸을 때도 앞을 보지 않고 스마트폰을 본 자세로 보행하여 행인끼리의 부딪힘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스마트폰을 보기 위해 폰을 손에 들고 대체로 고개를 숙이는 자세를 취하기 마련이다. 고개를 숙이고 있는 자세는 경추와 척추에 무리를 주며, 장기간 이러한 자세를 취하게 되면 배열이 틀어져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경추는 우리 몸에서 머리를 지탱하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운동범위가 넓다...2024.10.23
-
인체생리학 호흡2024.09.301. 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1.1. 호흡기의 해부학적 구조 호흡기의 해부학적 구조는 크게 상기도와 하기도로 구분된다. 상기도는 코, 비강, 인두, 후두까지이고, 하기도는 기관, 기관지 및 폐로 구성되어 있다. 호흡기계는 기능에 따라 전도영역과 호흡영역으로 구분된다. 전도영역은 공기의 통로가 되는 부분으로 코, 비강부터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 및 종말세기관지까지 포함되며, 가스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부위이다. 호흡영역은 호흡세기관지, 폐포관, 폐포낭 및 폐포로 구성되며, 실제로 가스교환이 일어나는 곳이다. 비강은 혈관과 점...2024.09.30
-
트리거 포인트2024.10.021. 트리거 포인트 1.1. 트리거 포인트의 의미 트리거 포인트(trigger point)는 근육에 통증을 일으키는 부분으로 "통증유발점"이라고도 하며 압통점이라는 의미이다. 근육 내부에 존재하는 작고 과민한 부분으로, 이 부분을 압박하면 해당 부위뿐만 아니라 주변 근육이나 관절 등에도 통증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이는 단순한 압통점과는 구분되는데, 압통점은 압박했을 때만 통증이 발생하는 반면 트리거 포인트는 자발적인 통증이나 연관통을 동반한다. 트리거 포인트는 근육 내에 존재하는 긴장된 근섬유다발로, 이 부분이 지속적으로 수축...2024.10.02
-
의학용어 기말고사2024.11.071. 신체계 및 비뇨계통의 구조와 기능 1.1. 신체계 1.1.1. 골격계 골격계는 뼈와 연골로 이루어진 체내 구조물로, 신체의 지지대이자 보호기능을 하는 중요한 계통이다. 뼈는 체내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으로, 크게 피질골과 해면골로 구성되어 있다. 피질골은 뼈의 겉면을 덮고 있는 치밀한 층이고, 해면골은 피질골 내부의 엉성한 구조를 가진다. 해면골은 내장기관을 보호하며, 골수생성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뼈는 성장이 완료되면 약 206개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이 크게 구분된다. 두개골은 머리 부분을 보호하며, 안면골은 눈, 코...2024.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