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9개
-
심부정맥혈전증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과 간호과정2024.11.07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구조 1.1.1. 심방과 심실 심장의 구조에서 심방과 심실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심장은 크게 두 개의 심방(atrium)과 두 개의 심실(ventricle)로 구성된다. 우심방(right atrium)은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으로부터 정맥혈을 받아들이며, 우심실(right ventricle)은 우심방으로부터 정맥혈을 받아 폐동맥을 통해 폐로 보낸다. 한편, 좌심방(left atrium)은 4개의 폐정맥으로부터 동맥혈을 받아들이고, 좌심실(left ventricle)은 좌심방으로부터 ...2024.11.07
-
해부학 근골격계2024.11.081. 뼈 1.1. 구조 1.1.1. 미숙골 미숙골(immatura bone)은 태아와 소아의 급성장기에 나타나는 뼈의 형태로, 무층골의 일종이다. 이 미숙골은 아직 구조화되지 않고 성숙한 형태의 뼈와는 달리 조직이 덜 발달되어 있다. 미숙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뼈 조직 내에 칼슘침착이 덜 되어 있어 경도가 낮고 연하다. 둘째, 뼈 조직 내 유기질 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아 탄력성이 있다. 셋째, 연골부위가 넓고 뼈의 성장이 활발하다. 넷째, 뼈의 표면이 거칠고 불규칙하다. 다섯째, 뼈의 모양이 불규칙하고 경계가 불분명하...2024.11.08
-
경추의 구조적 변화가 근골격계와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2024.10.061. 경추의 불균형이 신경과 혈관에 미치는 영향 1.1. 경추의 이해 1.1.1. 경추의 정의 경추는 7개의 추골과 2개의 관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제 2경추 이외에는 추골의 일반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제1경추를 환추라 하고, 후두골과 관절하여 끄덕이는 전후 운동을 한다. 제2경추의 치돌기와 함께 주위를 회전한다. 제2경추는 축추라고도 하며 추체의 상방에 치돌기가 있어서 환추와 관절과 있는데, 제2경추는 두개골의 회전운동에 관여하며, 제7경추는 극돌기가 경추 중에서 가장 길어 용추라고도 한다. 1.1.2. 경추의 기능...2024.10.06
-
정형외과 약어2024.10.061. 근골격계 용어 1.1. 관절 및 인대 관절은 두 개 이상의 뼈가 만나 연결된 부위로, 관절의 종류에는 경첩관절, 볼과 소켓관절, 활막관절 등이 있다. 관절에는 관절낭, 관절강, 관절윤활막, 관절연골 등의 구조물이 존재하며, 이들은 관절의 기능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절인대는 뼈와 뼈를 연결하여 관절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섬유성 연부조직이다. 대표적인 관절인대로는 무릎관절의 전방십자인대(ACL), 후방십자인대(PCL), 내측측부인대(MCL), 외측측부인대(LCL) 등이 있다. 이들 인대는 관절의 과도한 움...2024.10.06
-
정형외과 의학용어2024.10.291. 의학용어 1.1. 골격계 용어 1.1.1. 척추와 척추체 구조 척추와 척추체 구조는 인체의 골격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척추는 경추, 흉추, 요추, 천골, 미골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위는 특정한 기능을 담당한다. 경추(Cervical Vertebrae, C1~C7)는 머리를 지탱하고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1경추(C1, Atlas)와 제2경추(C2, Axis)는 머리의 회전과 전후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흉추(Thoracic Vertebrae, T1~T12)는 늑골과 연결되어 흉곽을 형성하며, ...2024.10.29
-
보디빌딩2024.08.261. 보디빌딩 개요 1.1. 보디빌딩의 정의 및 역사 보디빌딩은 트레이닝과 식단 조절을 통해 균형있는 미적 근육을 가꾸고 이를 평가하는 스포츠이다. 예전에는 보디빌딩이라는 말보다 육체미(肉體美)라는 말이 많이 쓰였지만 현재는 몸 만드는 운동이라는 의미로서는 거의 사장되었고 보디빌딩으로 완전히 대체되었다. 근육질의 아름다운 육체를 가꾼다는 개념은 고대 그리스때부터 있었으며, 고대 레슬링 선수였던 밀로가 돌이나 짐승같은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 행위로 몸을 만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밀로 때부터 19세기까지의 육체 단련은 근력 향상과 ...2024.08.26
-
정상보행2024.08.261. 정상 보행 1.1. 보행의 원리 사람의 보행은 하지의 여러 관절에서 잘 조화된 역학운동이 동시에 일어나 몸의 중심을 완만하게 전환시키는 복잡한 과정이다. 보행의 원리는 마리온과 쁘로아리에 의하면 양호한 기립자세는 각 분절의 중심이 그 분절을 지지하고 있는 기저의 중심 위에 있어 신체의 한쪽의 절의 노력이 다른 쪽의 그것과 같은 자세라고 정의할 수 있다. 좋은 자세로 서 있을 때는 안정되어 있어 우리 생체에 긴장이나 무리가 없어 피로를 동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피로를 동반하지 않는 좋은 직립자세는 양쪽 발이 7.6~10cm...2024.08.26
-
정형외과 의학용어2024.11.301. 정형외과 용어 1.1. 구조 및 기능 1.1.1. 척추기둥 척추기둥은 인체의 중심축으로, 총 33개의 척추골로 구성되어 있다. 척추골은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골 5개, 미골 4개로 이루어져 있다. 척추기둥은 신체를 지지하고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경추는 목 부분에 위치하며, 두개골과 연결되어 머리의 움직임을 돕는다. 흉추는 가슴 부위에 자리하고 갈비뼈와 연결되어 흉곽을 형성한다. 요추는 허리 부분에 위치하며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천골과 미골은 골반 부위에 있으며 골반...2024.11.30
-
근육기시정지작용2024.12.171. 근육의 개요 1.1. 근육의 특성 근육은 생물의 몸 전체를 움직이게 하는 기관으로, 크게 횡문근(골격근, 가로무늬근), 평활근(민무늬근), 심장근의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골격근은 우리의 의지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수의근이라고 하며, 내장근과 심장근은 의지에 관계없이 자율신경의 지배하에 있어서 불수의근이라고 부른다. 평활근은 종적 무늬가 약간 있으며, 심장 이외에 내장의 여러 기관(위, 장, 혈관, 자궁, 소화관, 방광, 수뇨관 등)의 벽을 형성하고 있어 일명 내장근이라고 한다. 심장근은 횡문근의 일종으로 심장 근...2024.12.17
-
해부학 정리2024.11.181. 해부학 기초 1.1. 해부학과 생리학 해부학은 인체의 구조와 모양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생리학은 인체의 기능과 작동 방식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두 학문은 상호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인체는 화학적으로 주요 원소인 산소, 탄소, 수소, 질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원소들은 생체 고분자인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등으로 결합하여 세포, 조직, 기관, 계통 등의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수정란의 발달과정에서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각 배엽에 따라 특정 조직과 기관이 발생한다. 외배엽은 ...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