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불씨잡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불씨잡변(佛氏雜辨)의 이해
1.1. 불씨 윤회에 대한 이해
1.2. 불교에 대한 정도전의 비판
1.3. 정도전의 비판에 대한 검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불씨잡변(佛氏雜辨)의 이해
1.1. 불씨 윤회에 대한 이해
인간의 생사와 윤회에 대한 불씨의 설은 천지의 생성과 운행에 근거하고 있다. 불씨는 사람과 만물이 계속해서 생생(生生)하여 끝이 없는 이유를 천지의 조화로운 기운이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천지의 대극(大極)인 태극은 동정(動靜)하며 그로 인해 음양이 생겨나고, 음양의 변화로 인해 오행이 갖추어지게 되는데, 이 무극태극의 참됨과 음양오행의 정묘함이 결합하여 사람과 만물을 끊임없이 생성해낸다는 것이다.
이처럼 생명체는 천지의 기운이 모여 이루어진 것이므로, 이미 생겨난 것은 가고 새로운 것이 오는 과정이 멈추지 않는다. 특히 인간의 경우 죽음 이후에도 정신이 멸하지 않고 다시금 형체를 갖춰 태어나는 윤회의 과정을 거친다고 본다. 이는 「주역周易」에서 "원시반종(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간다)"이라고 한 것과도 부합하며, 정신(神)은 형체(形)와 함께 생겨났다가 다시 흩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나아가 불씨는 물리적 세계에서의 현상들, 예를 들어 불이 타다 꺼지는...
참고 자료
[58] 제5권 불씨잡변(佛氏雜辨)(1)|작성자 새오늘
http://jbc304.egloos.com/4968822
https://m.terms.naver.com/entry.nhn?docId=1225302&cid=40942&categoryId=31544
삼봉 정도전의 『불씨잡변(佛氏雜辯)』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승만,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鄭道傳(1342~1398)의 異端論 硏究 : 心氣理篇 佛氏雜辨을 중심으로, 이현경, 연세대학교 대학원,2011
朝鮮 前期 유불 논쟁의 중요 쟁점에 관한 硏究 : 『佛氏雜辨』과 『顯正論』을 中心으로, 김기, 동국대학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