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프로젝트 접근법의 배경과 목적 및 특성, 유아 주제 선정 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프로젝트 접근법
1.1. 개념과 특징
1.2.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육과정
1.2.1. 시작단계
1.2.2. 전개단계
1.2.3. 마무리단계
1.3. 프로젝트 접근법의 시사점
2. 혼합연령 프로그램
2.1. 개념 및 집단 구성
2.2. 교육목표
2.3. 특징
2.3.1. 사회성 발달
2.3.2. 인지적 발달
2.3.3. 언어적 발달
2.3.4. 또래관계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프로젝트 접근법
1.1. 개념과 특징
프로젝트 접근법의 개념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 접근법은 한 명 또는 둘 이상의 유아가 특별한 주제에 대하여 깊게 탐색하는 활동으로, 유아의 자발성, 깊이 있는 탐구활동, 활발한 상호작용, 주제를 탐구하는 도전의식, 흥미에 따라 학습내용을 조정하는 수업방식이다. 즉, 획일적인 주입식 수업을 거부하고 유아의 주도적인 참여를 통한 학습을 목표로 한다. 프로젝트 접근법은 오늘날 유아교육에서 전인적인 발달을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선정 방법과 교수학습 방법을 함께 제시하는 교육 방법론적 이론이다. 둘째, 지식, 기능(학문적, 사회적, 의사소통 기능), 성향, 느낌 등 전 영역을 포괄하는 통합적 학습을 강조한다. 셋째, 학습내용이 유아 개개인에게 유의미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넷째, 시작, 전개, 마무리의 3단계 과정으로 구분되며 각 단계마다 중심활동과 과정, 유아활동 내용이 다르고 교사의 관심 및 역할도 달라진다. 다섯째, 유아의 흥미와 요구, 교사의 요구를 통합하여 학습내용을 선정하고 교수학습 과정을 구성한다. 여섯째, 부모나 지역사회 구성원들과의 협력적 관계를 강조한다. 일곱째, 프로젝트 전 과정에서 교사와 유아, 유아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과 협동학습이 강조된다.
1.2.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육과정
1.2.1. 시작단계
시작단계는 프로젝트 접근법의 첫 번째 단계로, 프로젝트 주제에 대한 유아들의 사전 경험과 호기심을 파악하고 질문목록을 작성하는 단계이다. 교사는 주제와 관련된 유아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토의하게 함으로써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과 동기를 이끌어낸다. 또한 유아들이 직접 궁금한 점을 표현하고 질문을 작성하게 하여 프로젝트의 방향을 설정한다. 이 단계에서 교사는 유아들의 사전 지식과 경험을 파악하고, 주제에 대한 유아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즉, 시작단계는 프로젝트의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1.2.2. 전개단계
전개단계는 시작단계에서 작성한 질문목록을 중심으로 조사 활동과 탐구 활동, 경험을 표현하는 활동을 전개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아동들이 주제와 관련된 현장 방문과 전문가 면담 등 다양한 조사 활동을 통해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획득한다. 또한 조사 과정에서 새로운 질문들이 생겨나면 이를 추가로 탐구해나가게 된다...
참고 자료
유승희, 프로젝트 접근법, 양서원, 2007.
이순형 외, 주제탐구표현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창지사, 2000.
지옥정,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프로젝트 접근법, 창지사, 1996.
박남희,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발달수준과 프로젝트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2004.
이소은ㆍ민하영(2021).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방송대출판문화원.
강은진, 김소연,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공동체, 2013.
김두범, 김미경,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창지사, 2012.
김영희 외, 유아교육과정, 동문사, 2005.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론, 학지사, 2003.
이순형 외, 영유아보육 교육프로그램의 이해, 학지사, 2007.
최인화 외, 유아 혼합연령 프로그램, 학지사, 2011.
문영심,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공동체, 2021.
이경숙(2008)『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준호(2006))『혼합연령 종일반 유아들 관계에서 나타나는 만 4,5세 유아의 연령 별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