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주변에서 관찰한 혐오동제 목표행동의 행동수정에 적합한 혐오통제 기법을 선정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행동수정의 개념과 발전
1.2. 행동수정의 목적 및 특성
1.3.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본론
2.1. 행동수정 대상 선정
2.1.1. 유아 및 아동의 문제 행동 사례
2.1.2. 혐오통제가 필요한 행동 유형
2.2. 행동수정 기법 선정
2.2.1. 소멸 기법
2.2.2. 반응대가 기법
2.3. 행동수정 절차 및 과정
2.3.1. 문제 행동의 관찰 및 정의
2.3.2. 지도 방법 및 계획 수립
2.3.3. 실험 설계 및 실시
2.3.4. 행동 변화 측정 및 결과 분석
2.4. 사례 연구
2.4.1. 과잉행동아동의 행동수정
2.4.2. ADHD 아동의 행동수정
3. 결론
3.1. 행동수정 기법의 효과성
3.2. 향후 발전 방향
3.3.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행동수정의 개념과 발전
행동수정의 개념은 1930년대 러시아 생리학자 파블로프(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에서 비롯되었다. 파블로프는 개에게 종소리와 함께 먹이를 주면 개가 나중에 종소리만 들어도 침을 흘리는 습관이 형성되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를 통해 자극과 반응의 조건화 과정이 인간행동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후 스키너(Skinner)가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을 발전시키면서 행동수정의 개념이 더욱 구체화되었다.
스키너는 행동이 보상과 처벌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을 개발하였다. 그는 인간의 행동이 외부 자극에 의한 반응이며, 그 행동이 보상을 받으면 증가하고 처벌을 받으면 감소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행동수정이란 바람직한 행동은 강화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은 약화시키는 방법을 통해 개인의 부적응적 행동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행동수정 이론은 왓슨(Watson)의 행동주의 심리학,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등과 결합되어 발전하였다. 특히 1960년대 이후 많은 실험연구를 통해 행동수정의 실효성이 검증되면서 교육, 임상심리, 재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행동수정은 인간의 행동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예측하고 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현대에는 단순히 행동의 형성과 변화에 초점을 두는 것을 넘어서, 인지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을 함께 고려하는 인지행동적 접근법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행동수정의 개념은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확장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1.2. 행동수정의 목적 및 특성
행동수정의 목적은 개인이 사회에 능률적으로 적응하는 것에 있어 필요한 행동을 개발해 의의 있는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의의 있는 변화는 수정 이후 적응 행동이 수정 이전의 행동보다 더 적응적이어야 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이는 사회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바람직한 행동으로의 변화를 지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행동수정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의 기술적 정의에 주목한다. 행동수정 이론은 겉으로 드러나는 관찰 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맞추며, 이를 기술적으로 정의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둘째, 행동의 기능에 주목한다. 행동수정 이론은 행동의 원인에 주목하기보다는 그 행동이 어떤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주목한다. 셋째, 행동에 대한 실험적 접근을 취한다. 행동수정 이론은 행동에 대한 실험적 접근을 통해 행동의 원리를 밝히고자 한다. 넷째,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주목한다. 행동수정 이론은 행동이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며, 환경 조절을 통한 행동 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다섯째, 행동의 기능적 분석을 시도한다. 행동수정 이론은 문제 행동의 기능을 분석하여 그 행동을 유발하는 선행 요인과 강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1.3.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연구 배경 및 필요성은 아동의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수정하여 적응적이고 사회적으로 능률적인 행동을 형성하는 것이다. 행동수정의 필요성은 첫째, 아동의 문제 행동 교정을 통해 자신과 타인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함이다. 둘째, 바람직한 행동을 형성함으로써 아동의 사회적 능력 향상과 더불어 전반적인 발달을 도모하고자 함이다. 셋째, 문제 행동 해결을 위한 부모와 교사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넷째, 행동수정 기법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적용을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연구 배경과 필요성에 따라 주변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유형의 아동 문제 행동 사례와 이에 대한 구체적인 행동수정 기법을 탐색하고자 한다.
2. 본론
2.1. 행동수정 대상 선정
2.1.1. 유아 및 아동의 문제 행동 사례
유아 및 아동의 문제 행동 사례는 다음과 같다.
요즘에는 유아와 아동을 쉽게 보기는 어렵지만, 내가 한 대형마트에 갔을 때 떼를 쓰는 아이를 본 적이 있다. 부모는 난감하게 여겼고 아이는 자기가 가지고 싶은 장난감 앞에서 꼼짝도 하지 않으며 사달라고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기도 했다. 아동이 떼를 쓰는 이유는 첫 번째로 분노와 좌절감에 의한 것이다. 떼쓰는 행동은 대체로 분노와 관련되어 있는데 좌절감을 경험할 때나 다른 사람에게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나 무언가 자기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화가 난다. 두 번째로 학습이다. 아동은 부모가 화내는 모습을 자주 보며 자기의 감정 표현 수단으로써 떼쓰는 행동을 나타내기도 한다. 세 번째로 감정 표현의 제약이다. 자기의 짜증, 분노, 마음에 상처를 입음 등을 인식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기에 이러한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부분이 문제가 된다. 아동의 표현 능력 자체에 제한이 있거나 부모가 아동의 감정 표현을 지나치게 억압하면 극단적인 행동이 나타나기 쉽다. 네 번째로 문제의...
참고 자료
이성진(2001). 행동수정. 교육과학사.
이은희(1983). 아동의 부적은 행동수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정보인(1992). 행동수정을 통한 어린이 문제행동지도, 중앙적성출판사
송명숙, 2003, 변별강화를 통한 행동수정 방법이 학습부진아의 학습부적응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p.11~12
오상윤, 2007, 비학습행동 아동의 행동수정 사례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p.9~20
고집부리고 떼쓰는 아이, 양육법은?, 김온기, Baby News, 2018.02.01.
박인아.(1989). 과잉행동아의 부적응 행동 감소를 위한 행동수정의 효과. 난청과언어장애, 12(1), 75-78
배재현. (1987). 행동요법에 의한 행동수정. 心理硏究 -.25, 26-35.
이성진. (1986). 특집 : 정서적 패턴의 발견과 치료 교육 ; 정서장애아와 행동수정. 정서·행동장애연구, 2(1), 34-38.
홍성은, 김소희. (2017). 자기점검전략과 행동수정원리를 활용한 읽기중재가 읽기능력이 부족한 ADHD 아동의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 학습장애연구, 14(3): 127-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