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어 교육문법의 문법 항목 및 용어 설명
한국어 교육문법의 문법 항목 및 용어 설명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교육문법에는 문법 형태와 문법 표현이 있다. 문법 형태에는 조사, 어미 등이 포함되며, 문법 표현에는 부정표현, 사동표현 등과 같은 문법 범주와 조사 결합형, 어미 결합형, 의존명사 서술어 공기, 어미 간 공기, 조사-서술어 공기 등의 공기 표현이 있다.
문법 형태는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작은 단위이며, 문법 표현은 보다 큰 단위의 문법적 구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사 '-을'과 어미 '-었-'은 문법 형태에 해당하지만, 부정표현 '-지 않다'나 사동표현 '-게 하다'는 문법 표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문법 표현에는 어휘-문법 경계에 있는 항목도 포함된다. 조사 결합형이나 어미 결합형, 의존명사 서술어 공기 구성 등은 형태적으로는 문법적 요소와 결합하고 있지만, 의미적으로는 하나의 표현 단위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한국어 교육문법에서는 문법 형태와 문법 표현을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문법 형태에 대한 교육은 기본적인 문법 지식을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되며, 문법 표현에 대한 교육은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1.2. 본 과제의 목적
본 과제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화용·관련어 정보를 가르쳐야 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선정한 문법 표현을 활용하여 문장, 대화 또는 담화 단위의 연습이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활동 교수방법도 포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 문법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목적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문법 교육 진행을 위한 교수 방법을 학습하는 것이 중요한 과정이 될 것이다.
2. 문법 표현 교육 내용
2.1. '-을 것 같다'
2.1.1. 의미 및 용법
'-을 것 같다'의 의미 및 용법은 다음과 같다.
(동사나 형용사, '이다, 아니다'에 붙어) 말하는 사람이 어떤 일에 대해 추측함을 나타낸다. 여러 상황으로 미루어 추측하는 말을 할 때 자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이 영화는 재미있을 것 같아요", "이 책은 어려울 것 같아요", "김치가 매울 것 같아요" 등과 같이 사용된다. 즉, '-을 것 같다'는 추측의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2.1.2. 형태통사 정보
'-을 것 같다'의 형태통사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동사 및 형용사 어간 끝음절에 받침이 있으면 '-을 것 같다'를 쓴다. 예)먹- + -을 것 같다 → 먹을 것 같다, 작- + -을 것 같다 → 작을 것 같다.
동사 및 형용사 어간 끝음절에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으로 끝나면 '-ㄹ 것 같다'를 쓴다. 단, 'ㄹ' 받침으로 끝날 때는 'ㄹ'이 탈락한다. 예)예쁘- + -ㄹ 것 같다 → 예쁠 것 같다, 크- + -ㄹ 것 같다 → 클 것 같다.
'이다, 아니다'는 '-ㄹ 것 같다'를 쓴다. 예)아니- + -ㄹ 것 같다 → 아닐 것 같다, 학생이- + -ㄹ 것 같다 → 학생일 것 같다.
부정문은 '지 않을 것 같다, 안 ?을 것 같다, -을 것 같지 않다'로 쓴다. '안 ?을 것 같다'는 주로 구어에서 쓴다. 예)그녀는 오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