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문법 표현 교육 및 교수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어 문법 교육
2.1. 문법 형태와 문법 표현
2.2. 문법 표현 교육의 주요 내용
3. 문법 표현 교육 사례
3.1. '-을 것 같다'
3.1.1. 의미 정보
3.1.2. 형태통사 정보
3.1.3. 관련 문법
3.2. '-읍시다'
3.2.1. 의미 정보
3.2.2. 형태통사 정보
3.2.3. 화용 정보
3.3. '-고 싶어 하다'
3.3.1. 의미 정보
3.3.2. 형태통사 정보
3.3.3. 관련 문법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어 교육문법의 문법 항목으로 문법 형태와 문법 표현이 있다. 문법 형태로 조사, 어미 등이 있으며 문법 표현으로 부정표현, 사동표현 등과 같은 문법 범주와 조사 결합형, 어미 결합형, 의존명사 서술어 공기, 어미 간 공기, 조사-서술어 공기 등의 공기 표현이 있다. 본 과제에서는 한국어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표현의 예를 통해 한국어 문법 표현 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항목별 주요 교육 내용과 활동 교수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한국어 문법 교육
2.1. 문법 형태와 문법 표현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문법 형태와 문법 표현은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문법 형태는 조사, 어미 등과 같은 문법 요소를 의미하며, 문법 표현은 부정표현, 사동표현 등과 같은 문법 범주와 조사 결합형, 어미 결합형, 의존명사 서술어 공기, 어미 간 공기, 조사-서술어 공기 등의 공기 표현을 포함한다. 문법 형태와 문법 표현은 모두 한국어 교육의 핵심 사항으로, 학습자가 정확하고 유창한 한국어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 요소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2.2. 문법 표현 교육의 주요 내용
한국어 문법 표현 교육의 주요 내용은 문법 표현의 의미정보, 형태통사정보, 화용정보, 관련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문법 표현의 의미정보는 해당 표현의 의미와 용법을 포함하며, 문법 표현이 나타내는 의미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을 것 같다'는 추측의 의미를, '-읍시다'는 제안이나 권유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문법 표현의 형태통사정보에는 활용방식, 문장구성정보, 제약정보 등이 포함된다"". 학습자들이 정확하게 표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어미의 결합형태, 문장구조 및 제약사항 등을 자세히 설명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을 것 같다'의 경우 동사와 형용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유무에 따른 활용형을, '-읍시다'는 동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유무에 따른 활용형을 명시할 수 있다"".
화용정보에는 문법 표현의 맥락 관련 정보, 구어적 특성, 경어 표현 등이 포함된다"". 학습자들이 적절한 맥락에서 문법 표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황에 따른 화용적 특성을 가르쳐야 한다"". 예를 들어 '-읍시다'는 격식적인 상황에서 윗사람이나 같은 위치의 사람에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자'는 친구나 아랫사람에게 사용할 수 ...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1, 2, 문진미디어, 2013
양명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 집문당, 2016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수학습샘터, https://kcenter.korean.go.kr/kcenter/index.do;jsessionid=9TEoktRcp2QoEslKzf-lS+l4.node02
안경화. 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교육론 강의교재. 제3주차 1교시<문법 항목과 항목별 세부 정보>, 제3주차 2교시<문법 항목별 주요 교육 내용>
양명희 외(2018),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 초급, 집문당. 표현
양명희 외(201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 중급, 집문당. 표현
한재영 외(2008), 한국어 문법교육, 태학사. 문법 교육 설계와 교수안의 실례
김성희 외. 서강 한국어(NEW)3A Workbook. 서강대학교한국어교육원.<5과.-읍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