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만성신부전 환자의 간호
1.1. 투석의 정의 및 종류
투석이란 만성신부전 환자의 혈액에서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을 말하며, 투석의 종류에는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이 있다.
혈액투석은 혈액투석장치를 이용하여 혈액 속의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고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팔의 내측에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여 만든 동정맥루를 통해 투석을 시행하며, 동정맥루가 없는 경우에는 목 부위의 정맥에 카테터(도관)를 삽입하여 투석을 시행한다. 동정맥루에 두 개의 주사관을 꽂아 투석기(dialyzer)와 연결하면, 혈액이 투석기를 통과하면서 투석액 쪽으로 노폐물, 수분, 전해질 등이 제거되고 부족한 성분은 투석액에서 혈액으로 유입된다.
복막투석은 투석액을 복강 내에 주입하고 복막의 반투막 기능을 이용하는 치료법이다.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CAPD)은 투석액을 하루에 3~5회 교환하고, 지속적 순환 보조 복막투석(CCPD)은 낮에는 투석액을 교환하지 않고 밤에 자동순환기를 이용하여 4~5회 교환하며, 간헐적 복막투석(IPD)은 일주일에 4일을 하루에 10시간씩 30분마다 교환한다.
따라서 투석은 만성신부전 환자의 혈액에서 노폐물을 제거하는 치료법으로,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이 대표적인 종류이다."
1.2. 투석의 원리
혈액투석의 물질이동은 반투막을 통한 확산과 초여과 2가지 원리에 의해 일어난다"
첫째, 확산(diffusion)은 혈액과 투석액 사이에 있는 반투막을 통해 용액의 입자들이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두 구간의 농도가 같아질 때까지 이동하는 현상이다. 이를 통해 혈중의 과다한 대사성 노폐물과 전해질 등이 제거된다"
둘째, 초여과(ultrafiltration)는 혈액에서 투석액 사이의 압력경사의 결과 반투막을 통해 혈액측의 수분을 투석액쪽으로 이동시키는 기전이다. 이를 통해 체내의 과잉수분이 제거된다"
1.3. 혈액투석 방법
혈액투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투석 전에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투석막과 튜브내의 공기와 잔존 소독액을 씻어낸다. 둘째, 환자에게 적합한 종류의 투석액을 준비한다. 15~16G 바늘로 동정맥루를 천자한다. 셋째, 동맥 바늘은 문합술 방향으로 삽입하고, 정맥바늘은 심장 방향으로 삽입한다. 넷째, 투석 전 환자상태를 사정하고 투석치료 계획이 결정되면 환자의 혈관통로와 투석기계를 연결한다. 다섯째, 혈액펌프의 회전동력에 의해 동맥측 혈액이 튜브를 통해 체외로 나온다. 여섯째, 곧바로 항응고제를 주입하고 이후 투석동안 지속적으로 항응고제가 투여되도록 한다. 일곱째, 투석기를 통과한 깨끗한 혈액은 정맥혈관을 통해 다시 환자에게로 주입한다. 혈액 펌프로 혈류 속도를 조절한다. 여덟째, 투석 종료 시에는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체외순환중인 혈액을 체내로 다시 넣어준다. 아홉째, 혈액투석 환자는 이러한 과정을 주 2~3회, 1회 4~5시간 동안 정기적인 간격으로 받아야 한다.
1.4. 혈액투석 환자의 간호
혈액투석 환자의 간호는 다음과 같다.
투석 시작 전에 환자의 체중 및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혈관통로의 개존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존성은 손으로 촉진하여 진동(Thrill)을 느끼고 청진하여 잡읍(bruit)을 듣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혈전증을 예방하고, 동정맥루가 설치된 팔에서는 혈액 채취, 정맥 주사, 혈압 측정을 하지 않으며 혈관이 조이는 장신구나 의복의 착용을 피하고 무거운 것을 들거나 팔 배개를 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