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에릭슨의 이론에서 제시하는 자아와 프로이드 이론에서 제시하는 자아의 차이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2.1. 성격구조: 원초아, 자아, 초자아
2.2. 무의식과 발달단계
3.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3.1. 자아정체성과 발달단계
3.2. 사회적 상호작용의 영향
4. 두 이론의 차이점
4.1. 발달단계의 관점
4.2. 자아와 무의식의 중요성
4.3. 인간관 및 발달에 대한 관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 접촉하여 그들의 미충족 된 욕구와 문제가 해결되도록 지원하는 인력이므로 인간의 심리와 행동 특성을 숙지하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선 심리학에 포함된 여러 이론을 학습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 지난 교과과정에서 관련 지식들을 학습한 바 있으므로 이하의 본문에서는 에릭슨의 이론에서 제시하는 자아와 프로이트 이론에서 제시하는 자아의 차이점을 기술하고, 내가 생각하는 자아는 어느쪽에 가까운지 토론해보도록 하겠다.
2.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2.1. 성격구조: 원초아, 자아, 초자아
원초아는 인간 성격의 기반으로 자아, 초자아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인격적 구조이다. 원초아는 본능적인 욕구, 즉 쾌락에 대한 만족을 추구하며 쾌락 원리의 지배를 받는다. 원초아는 인간의 정신적 에너지, 성적 에너지의 근원으로 본능 그 자체라고도 할 수 있으며 도덕적 관념과 논리가 부재하며 인간이 이를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고 무의식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원초아의 이 본능적인 성격은 인간이 하는 모든 행동의 결정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
자아는 인간의 정신적인 영역을 이루는 심리적인 구성요소로, 현실 세계와의 접촉을 통해 본능적 욕구를 어떻게 타협하고 충족할 것인지 정하게 된다. 자아는 인간의 성격과 행동을 조절하고 통제하며 현실적인 원리에 따라 실행된다. 자아는 현실이라는 외부 환경과 인간의 내부에 있는 본능적인 욕구의 충돌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조절해 인간이 사회인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한다.
초자아는 어린 시절 부모의 가치관에 영향을 받은 도덕관념, 사회에 의해 요구된 도덕적 기준으로 구성되어있다. 초자아는 이상적 세계, 도덕적인 완전함, 양심 등을 추구한다. 또한 인간은 의식, 전의식, 무의식 중 오로지 의식만을 스스로 인식할 수 있으며 자신이 의식에 따라 행동한다고 믿는다. 그러나 사실 인간이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영역이 무의식에 속해있으며 이 무의식이 인간의 행동과 생각을 결정한다.
2.2. 무의식과 발달단계
프로이드는 인간의 ...
참고 자료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교안
김경희, 에릭슨과 프로이드의 성격발달 이론의 비교 분석, 산업융합연구 제7권 제2호, 대한산업경영학회, 2009, pp.7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