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뇌경색 개요
1.1. 뇌경색 정의
뇌경색이란 환자의 뇌 조직이 괴사하여 융해되는 질환을 말한다. 환자의 목 부분에 있는 경동맥, 척추-기저동맥부터 우리 뇌 안에 있는 아주 작은 지름의 동맥까지 어떤 혈관이든 막힐 수 있다. 이로 인해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하여 지속적인 증상이 남는다.""
1.2. 뇌경색 유형
뇌경색의 유형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첫째, 뇌색전증은 심장질환이 있거나 목의 혈관에 동맥경화 등의 혈전이 있다가 떨어져 색전물로 떠돌다가 작은 뇌혈관에 걸려 막히는 경우이다. 둘째, 뇌혈전증은 뇌에 관련된 혈관의 동맥경화와 같은 동맥 자체의 이상에 의해 동맥이 막히는 경우이다. 셋째, 전신 뇌혈류저하에 의한 뇌허혈은 빈혈, 저혈압, 쇼크 등으로 뇌로 가는 혈류가 떨어져 뇌의 전반적인 허혈상태를 초래하는 경우이다."
1.3. 뇌경색 발생 원인
뇌경색 발생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동맥경화증이나 동맥염 등으로 인해 혈관 벽에 찌꺼기가 생겨 혈류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혈관이 점차 좁아져 결국 폐쇄가 되어 뇌경색이 발생한다. 둘째, 심장에서 생긴 혈전이 떨어져 나와 뇌혈관을 막는 경우로 이를 심인성 뇌색전증이라 한다. 마지막으로 작은 관통동맥에 혈전이 생겨 작은 부위의 경색이 발생하는 열공성 뇌경색이 있다. 이는 동맥경화나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게서 잘 발생한다.""
2. 뇌경색 증상
2.1. 실어증
실어증은 정신이 명료한데도 갑자기 말을 잘 못하거나 남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등의 증상을 말한다. 뇌경색 환자의 90% 이상에게서 언어 중추는 좌측 대뇌에 있기 때문에 좌측 대뇌의 뇌졸중일 때 우측 반신 마비와 함께 실어증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병변의 위치에 따라 글을 못 읽거나 못 쓸 수도 있다. 즉, 좌측 대뇌에 뇌경색이 발생하면 우측 신체에 마비가 오면서 동시에 실어증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실어증은 뇌경색 환자에게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며, 대뇌 피질의 손상으로 인해 언어 기능의 장애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2.2. 의식 장애
뇌경색 환자에게 나타나는 의식 장애는 매우 심각한 증상 중 하나이다. 뇌경색의 정도가 심한 경우 혹은 뇌간 뇌경색의 경우 의식 장애가 나타난다. 가장 심각한 의식장애의 상태는 혼수 상태인데, 이런 때에는 아무리 자극을 주어도 환자가 깨지 못하며, 대체로 예후가 매우 불량하다.
혼수 상태의 환자는 호흡과 순환이 불안정하고, 체온 조절이 잘 되지 않는다. 또한 지속적인 감염 위험이 있으므로 철저한 간호 관리가 필요하다. 의식 저하 정도에 따라 Glasgow Coma Scale을 사용하여 의식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기도 유지와 호흡 관리, 순환 유지, 체온 관리, 감염 예방 등의 집중치료가 필요하다.
의식 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자발적인 움직임이나 반응이 감소하므로 욕창, 관절 구축, 폐렴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다. 따라서 체위 변경, 관절 운동, 흡인 간호 등 적극적인 간호 중재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가족들에게 환자의 상태와 예후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는 것도 필요하다.
결국 뇌경색으로 인한 의식 장애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므로, 신속하고 체계적인 집중 치료와 간호가 필수적이다. 환자의 활력 징후와 신경학적 증상을 면밀히 관찰하고, 합병증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를 신속히 수행해야 할 것이다.
2.3. 반신마비
팔, 다리를 움직이게 하는 운동 신경은 대뇌에서 내려오다가 뇌간의 아래 부분에서 교차하여, 한쪽 뇌에 이상이 생기면 대개는 그 반대 쪽에 마비가 오게 된다. 뇌경색이 발생하면 폐색된 혈관의 위치와 관류영역의 크기, 측부 순환량 등에 따라 다양한 신경학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데, 뇌경색이 좌반구에 발생하면 신체 우측의 마비나 허약함이 나타나고 우반구에 발생하면 신체 좌측의 마비나 허약함이 나타난다. 뇌간 뇌경색의 경우 사지가 모두 마비되기도 한다. 반신마비는 운동신경 손상으로 인한 것으로, 폐색된 혈관부위와 크기에 따라 그 증상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반신마비의 정도와 회복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2.4. 연하장애
연하장애는 음식물을 잘 삼키지 못하고 사래가 잘 걸리며, 때로는 침을 삼키지 못하여 침을 흘리곤 하는 증상이다. 이는 뇌경색 발생 시 뇌간에 손상이 생겨 연하 작용을 담당하는 신경이 손상되어 나타나는 증상이다.
뇌경색 환자에게서 연하장애가 나타나는 이유는 연하 작용 시 필요한 혀, 연구개, 인두근 등의 제거운동이 감소하여 음식물이나 침이 기도로 넘어가 사래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또한 삼킴 반사가 저하되어 연하 시 충분한 힘이 들어가지 않아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게 된다. 이로 인해 흡인성 폐렴의 위험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연하장애가 있는 뇌경색 환자에게는 음식 섭취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혀와 목 근육의 운동성을 높이고 연하 반사를 자극하기 위해 연하 훈련을 시행하여 연하기능을 향상시키고, 환자의 상태에 맞는 식이 조절이 필요하다. 또한 기관 삽관이나 위관 영양 등의 보조적인 영양공급 방법을 고려해야 할 수 있다.
연하장애에 대한 적절한 간호중재를 통해 흡인성 폐렴, 영양 결핍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간호사는 연하장애에 대한 정확한 사정과 함께 연하 훈련, 체위 관리, 영양 공급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2.5. 시야 및 시력 장애
시야 및 시력 장애는 뇌경색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이다.
갑자기 한쪽 눈이 안 보이거나 시야의 한 귀퉁이가 어둡게 보이게 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는 후두엽(대뇌의 가장 뒷부분)에 뇌경색이 생겼을 때 반대쪽 시야에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뇌졸중 후에는 시각 자극에 둔감해져서 물체를 인식하고 구분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반맹증이라는 시야결손이 발생하여 한쪽 시야가 보이지 않게 된다. 이는 후두엽의 병변으로 인한 것으로, 뇌졸중 환자들이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