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동의 발달과 특성
1.1. 영아기(0-1세) 발달 특성
1.1.1. 신체적 발달
신체적 발달은 영아기에 가장 빠르고 급속하게 이루어진다. 신체 발달 속도는 생후 처음 6개월이 가장 빠르며 점차 둔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신장은 생후 1년 동안 약 50% 증가하여 출생 시 길이의 1.5배가 된다. 체중은 3~4개월 만에 출생 시 체중의 2배가 되고, 1년 만에 출생 시 체중의 3배가 된다. 두위와 흉위 또한 12개월까지 빠르게 발달한다. 이처럼 영아기는 신체적 성장이 가장 빠른 시기이며, 신체적 발달이 전반적인 발달의 기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1.1.2. 운동 발달
영아기(0-1세)의 운동 발달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데, 미세운동과 전체운동 측면에서 발달이 두드러진다. 미세운동 측면에서는 생후 1개월에 주먹을 쥐고 있는 모습을 보이며, 3개월에 손을 쫙 펴고, 5개월에는 수의적으로 물체를 잡을 수 있게 된다. 6개월에는 우유병을 잡고 먹을 수 있으며 과자도 혼자 잡고 먹을 수 있게 된다. 7개월이 되면 물체를 옮겨 잡고 한손 또는 양손으로 물체를 잡을 수 있게 되며, 8~9개월에는 미숙한 집기 운동을 하다가 10개월에는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물체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전체운동 측면에서는 5개월부터 엎드린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 뒤집기 시작하며, 6개월에는 완전히 머리를 가누고 누운 자세에서 엎드린 자세로 뒤집기 시작한다. 7개월이 되면 손을 앞으로 짚어 몸을 지지하며 혼자 앉을 수 있게 되고, 8개월이 되면 짚지 않고 앉을 수 있게 된다. 9개월이 되면 기어갈 수 있게 되며, 기구를 잡고 서울 수 있게 된다. 10개월이 되면 엎드린 자세에서 앉은 자세로 변경할 수 있고, 11개월이 되면 기구를 잡거나 양손을 붙잡고 걸을 수 있으며, 12개월이 되면 한 손만 잡고 걸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영아기에는 신체 각 부위의 근육이 발달하면서 점차 정교해지는 운동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1.1.3. 사회심리적/사회성적 발달
영아기(0-1세)의 사회심리적/사회성적 발달은 프로이드의 성적발달 이론에서 구강기에 해당하며,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 이론에서 신뢰감 대 불신감 단계에 해당한다. 이 시기 영아는 운동, 인지, 사회발달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며, 주로 돌보는 사람, 특히 어머니와의 상호관계를 통해 기본적인 신뢰감을 형성하고 인간관계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게 된다.
영아는 생후 7~8개월경부터 어머니에게 애착행동을 나타내기 시작하며, 낯선 사람에게는 경계하거나 거부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불안 및 낯가림 행동은 영아가 세상에 대한 신뢰감을 바탕으로 자신과 타인을 구분하며 애착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의 일부로 이해될 수 있다.
영아기 동안 돌봄 제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본적인 신뢰감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영아에게 제공되는 애정과 긍정적인 자극은 건강한 자아상 및 타인에 대한 신뢰감 형성에 기여하게 된다. 반면 부정적인 양육 경험은 불신감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영아기 동안 돌봄 제공자가 영아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1.4. 인지적/언어 발달
영아기(0-1세) 시기의 인지적/언어 발달은 다음과 같다.
인지발달의 경우, 피아제의 이론에 따르면 영아기는 감각운동기에 해당한다. 영아는 대상으로부터 자신을 구별하고 대상영속성을 발달시킨다. 예를 들어 어머니가 담요 아래에 숨겨놓은 장난감을 찾아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영아는 대상이 사라져도 지속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언어발달의 경우, 2-3개월에 옹알이를 시작하고, 4-6개월에는 모음과 자음이 합쳐진 음절을 내기 시작한다. 12개월이 되면 "엄마", "아빠" 등의 단어를 말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영아기는 언어발달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로, 옹알이에서 점차 단어 산출로 발전해 나간다."
1.1.5. 도덕/영적 발달
영아기 영아는 부모 밑에서 어떠한 자극적인 힘에 대해서도 제한된 개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부모가 애정과 긍정을 주었을 때 그 행동을 확실하게 배운다. 다른 행동은 부모가 반대의 표시를 보일 때 "나쁘다"라는 의미로 받아들인다. 이 발달단계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돌봄 제공자가 요구한 것을 영아가 했을 때 칭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돌봄 제공자는 영아가 대부분 어른을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만일 실패를 했다면 불쾌하게 만들었다기보다는 발달이 미숙하기 때문이다. 신뢰감의 발달은 도덕발달에서 중요하다. 왜냐하면 건전한 신뢰감이 발달한 영아는 미래에 영적 적응이 더 잘 발달될 수 있고 도덕적 양심을 갖는다. (그들은 주위사람들 뿐만 아니라 영적 존재에 대해서 신뢰할 수 있다.)"이다.유아기 유아는 사람들의 요구보다는 부모의 요구에 더 순종을 하는데 왜냐하면, 다른 사람들의 권위를 부모의 권위만큼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Kohlberg는 이것을 처벌복종가치관으로 언급했다. 유아는 옳고 그름의 감각을 형상화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옳은 것을 행한 것에 기준은 영적이거나 사회적 동기보다는 어머니 또는 아버지의 말씀이 강력하게 작용한다. 간호사는 간호를 제공하는 동안 지시를 잘 따를 수 있도록 부모에게 교육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1.2. 유아기(1-3세) 발달 특성
1.2.1. 신체적 발달
유아기(1-3세) 신체적 발달은 다음과 같다. 출생 시 약 50%의 신장을 가진 영유아는 생후 1년까지 약 50%의 신장 증가를 보이며, 체중 또한 3-4개월 만에 출생 체중의 2배, 1년 만에 3배로 증가하게 된다. 이 시기의 두위와 흉위도 지속적으로 발달하여 12개월경에는 성인에 근접한 수준까지 변화한다.
15개월경에는 혼자 걸을 수 있게 되며, 계단을 기어 올라가고 2단 적목을 쌓을 수 있다. 18개월 경에는 달리는 동작을 시도하게 되며 한손으로 계단을 오를 수 있게 되고 3-4개의 적목을 쌓을 수 있다. 24개월 경에는 계단 오르내리기, 책장 넘기기, 숟가락 사용이 가능해지며 30개월경에는 한발로 서기와 8개 적목 쌓기 등의 운동발달이 관찰된다.
이처럼 유아기는 신장, 체중, 두위, 흉위 등 전반적인 신체발달이 지속되는 시기이며, 걷기, 뛰기, 계단 오르기, 적목 쌓기 등의 운동 기능 또한 급속도로 발달하게 된다. 이처럼 유아기 신체발달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특징을 보인다."
1.2.2. 사회심리적/사회성적 발달
유아기(1-3세) 아동의 사회심리적/사회성적 발달은 다음과 같다.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에 따르면 유아기는 항문기로, 이 시기 배변훈련 시작이 중요한 발달과업이다. 배변훈련 시 유의사항으로는 항문 및 요도조임근의 자의적 조절이 가능한 18~24개월경에 이루어져야 한다.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이론에 의하면 유아기는 자율성 대 수치심의 단계로, 유아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을 격려하여 자율성을 증진시키고, 자아를 통제하려 들지 않고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