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적장애 아동의 특징
1.1. 지적장애의 원인
1.1.1. 생물학적 원인
지적장애 아동의 생물학적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지적장애의 생물학적 원인으로는 유전적 전달, 염색체 이상, 두개골 기형 등이 있다.
유전적 전달에는 신경섬유종증, 페닐케톤뇨증, 테이-삭스병, 갈락토스혈증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유전적 질환들은 선천적으로 유전되어 지적장애를 일으킨다.
염색체 이상에는 다운증후군, 프래더-윌리증후군, 윌리암증후군, 터너증후군 등이 있다. 이들은 염색체의 이상으로 인해 지적장애가 발생한다.
두개골 기형에는 무뇌증, 소뇌증, 소두증 등이 있다. 이는 태아기 때 두개골의 발달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지적장애가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지적장애의 생물학적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이들 질환으로 인해 지적기능과 적응행동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1.1.2. 환경적 원인
환경적 요인은 지적장애 아동의 원인 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에는 조산, 출생 시 문제, 출산 후 문제, 기타 선천적 요인 등이 포함된다.
조산은 지적장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조산은 뇌 발달에 문제를 초래하여 인지 및 적응행동 발달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출생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는 산소결핍, 감염, 외상 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뇌 손상이 발생하면 지적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출산 후에도 심각한 질병이나 외상이 발생하면 뇌 손상을 초래하여 지적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뇌염, 뇌수막염, 두부외상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 외에도 선천적인 기형이나 유전적 결함이 있는 경우에도 지적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환경적 요인은 임신, 출산, 출산 후 등 각 시기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로 인해 지적장애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지적장애 아동을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환경적 요인들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지적장애의 특성
1.2.1. 지적능력 특성
지적장애 아동의 지적능력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지적장애 아동은 지능지수가 70 이하이며, 기억, 선택적 주의집중, 정보처리, 학습전략 사용, 형식적 조작기 도달에 어려움을 보인다. 정보처리모형적 관점에서 지적장애 아동은 감각기억과 작업기억까지는 정상범주의 아동과 차이가 없으나, 선택적 주의집중, 전략사용의 어려움, 장기기억에 쌓은 서술적·절차적 기억 등이 제한적이다. 또한 인지발달적 관점에서 지적장애 아동은 11세 이후의 형식적 조작기까지 발달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보인다. 즉, 지적장애 아동은 지적능력 전반에 걸쳐 현저한 지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1.2.2. 적응행동 특성
지적장애 아동의 적응행동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지적장애 아동은 개인이 자신이 속한 연령 및 문화집단에 기대하는 개인적 독립성 및 사회적 책임성 기준에 부합하는 정도에서 어려움을 보인다. 적응행동은 크게 3가지 하위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첫째, 언어, 읽기/쓰기, 돈 개념 등의 개념적 적응행동에 어려움을 겪는다. 둘째, 대인관계, 법 준수하기, 잘 속는 성향 등의 사회적 적응행동에 어려움을 보인다. 셋째, 식생활, 이동, 교통수단 이용하기, 돈 관리, 직업 기술 등의 실제적 적응행동에도 어려움을 겪는다. 지적장애 아동은 이처럼 전반적인 적응행동 측면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1.2.3. 지적장애 유형별 특성
지적장애 유형별 특성은 다음과 같다.
다운증후군 특성은 통상 키가 작고 뚱뚱하며, 손은 짧고 낮은 코 등 특징적인 얼굴이 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