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D 모니터링

  • 1
  • 2
  • 3
  • 4
  • 5
  • 6
  • 7
>
최초 생성일 2024.09.05
4,2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EVD 모니터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1.1. 정의 및 정상범위
1.2. 두개내압 상승과 저하의 임상적 특징

2. 두개내압 측정 및 관리
2.1. 두개내압 측정법
2.2. 뇌실외배액술(EVD) 삽입 및 관리
2.2.1. 뇌실외배액술 정의
2.2.2. 뇌실외배액술 삽입 및 배액 방법
2.2.3. 뇌실외배액술 관련 간호중재

3. 증례분석
3.1. 환자 개요
3.2. 진단 및 치료 경과
3.3. 주요 검사결과 및 약물치료

4. 간호과정
4.1. 간호진단
4.2. 간호목표 및 중재
4.3. 간호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1.1. 정의 및 정상범위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은 두개강 내의 압력으로서 두개 내의 2가지 구성요소인 뇌조직, 뇌척수액, 혈액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이다. 정상범위는 5~13mmHg(0~15mmHg)으로 본다. 20mmHg 이상은 두개내압 상승을 의미한다.


1.2. 두개내압 상승과 저하의 임상적 특징

ICP 상승의 임상적 특징은 의식수준의 저하, 활력징후의 변화, 동공반사의 변화, 운동과 감각의 변화, 두통, 구토, 경련 등이 있다.

의식수준의 저하는 대뇌피질에 산소 공급이 감소되어 나타나며, 활력징후의 변화로는 Cushing triad(수축기 혈압 상승, 서맥, Cheyne-Stokes 호흡/실조성 호흡)와 체온 상승이 있다. 동공반사는 압박에 따라 변화하며, 운동과 감각의 변화로 감각/운동 기능 손실, 제뇌반응, 통증에 대한 무반응 등이 나타난다. 두통은 ICP 상승 초기에 심해지며, 구토는 뇌간의 압박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대발작 형태의 경련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Cushing 궤양은 자율신경계 자극으로 인한 위장관계 출혈을 야기한다.""

ICP 저하의 임상적 특징은 기립성 두통, 오심, 구토, 귀의 이명 증상, 목의 뻣뻣함, 등 뒤쪽 견갑골 사이의 통증 등이다. 이러한 증상들은 자세 변화에 따라 발생하고 호전되는 특징을 보인다.""


2. 두개내압 측정 및 관리
2.1. 두개내압 측정법

두개내압 측정법은 환자의 두개내압을 정확히 측정하여 적절한 치료와 간호를 제공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첫째, 뇌실 내 도관(intraventricular catheter)은 천두공을 통해 가쪽뇌실에 관을 삽입하여 뇌실압력을 직접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뇌척수액의 수집과 배액, 뇌실내 약물 주입 등이 가능하다. 그러나 뇌실의 전위나 허탈된 경우에는 장치 삽입이 어려울 수 있다.

둘째, 거미막밑 또는 경질막밑 나사(subarachnoid/subdual bolt)는 탐침을 거미막밑공간으로 삽입하여 두개내압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는 뇌실내 도관 삽입이 어려운 경우에 적용할 수 있으며, 감염의 위험도 상대적으로 낮다. 다만 두개골이나 천문을 봉합해야 하고, 외상이나 전위가 있는 경우 나사나 볼트가 돌출될 위험이 있다. 또한 압력이 상승된 경우 나사 끝이 뇌에 닿아 측정값이 부정확할 수 있다.

셋째, 경질막상 장치(epidural device)는 공기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를 경질막과 두개골 사이에 삽입하여 압력을 측정한다. 이 또한 뇌실내 도관 삽입이 어려운 경우에 활용할 수 있으며,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 그러나 두개골이나 천문을 봉합해야 하고, 외상이나 전위가 있는 경우 나사나 볼트가 돌출될 위험이 있다.

마지막으로, 광섬유 변환장치(fiberoptic device)는 뇌실 내,...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2019). 현문사. 황옥남 외
약학정보원: www.health.kr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성인간호학 (2019).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2020). 수문사. 송경애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과정 실무지침: 개정판(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4(2014).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이민자 옮김
학술자료: 『수용개작을 통한 뇌실외배액 간호 실무지침 개발』(2016). 임상간호연구 22권 3호. 294-304pages. 병원간호사회. 정원경 외.
학술자료: 『뇌실 외 배액관 관련 뇌실염의 예방과 관리』(2014).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지. 7(2): 97-103.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최상호.
학술자료: 『Risk Factors of External Ventricular Drain Infection: Proposing a Model for Future Studies』(2019).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Frontiers in Neurology. Endre Czeiter
약학정보원: www.health.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