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1.1. 정의 및 정상범위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은 두개강 내의 압력으로서 두개 내의 2가지 구성요소인 뇌조직, 뇌척수액, 혈액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이다. 정상범위는 5~13mmHg(0~15mmHg)으로 본다. 20mmHg 이상은 두개내압 상승을 의미한다.
1.2. 두개내압 상승과 저하의 임상적 특징
ICP 상승의 임상적 특징은 의식수준의 저하, 활력징후의 변화, 동공반사의 변화, 운동과 감각의 변화, 두통, 구토, 경련 등이 있다.
의식수준의 저하는 대뇌피질에 산소 공급이 감소되어 나타나며, 활력징후의 변화로는 Cushing triad(수축기 혈압 상승, 서맥, Cheyne-Stokes 호흡/실조성 호흡)와 체온 상승이 있다. 동공반사는 압박에 따라 변화하며, 운동과 감각의 변화로 감각/운동 기능 손실, 제뇌반응, 통증에 대한 무반응 등이 나타난다. 두통은 ICP 상승 초기에 심해지며, 구토는 뇌간의 압박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대발작 형태의 경련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Cushing 궤양은 자율신경계 자극으로 인한 위장관계 출혈을 야기한다.""
ICP 저하의 임상적 특징은 기립성 두통, 오심, 구토, 귀의 이명 증상, 목의 뻣뻣함, 등 뒤쪽 견갑골 사이의 통증 등이다. 이러한 증상들은 자세 변화에 따라 발생하고 호전되는 특징을 보인다.""
2. 두개내압 측정 및 관리
2.1. 두개내압 측정법
두개내압 측정법은 환자의 두개내압을 정확히 측정하여 적절한 치료와 간호를 제공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첫째, 뇌실 내 도관(intraventricular catheter)은 천두공을 통해 가쪽뇌실에 관을 삽입하여 뇌실압력을 직접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뇌척수액의 수집과 배액, 뇌실내 약물 주입 등이 가능하다. 그러나 뇌실의 전위나 허탈된 경우에는 장치 삽입이 어려울 수 있다.
둘째, 거미막밑 또는 경질막밑 나사(subarachnoid/subdual bolt)는 탐침을 거미막밑공간으로 삽입하여 두개내압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는 뇌실내 도관 삽입이 어려운 경우에 적용할 수 있으며, 감염의 위험도 상대적으로 낮다. 다만 두개골이나 천문을 봉합해야 하고, 외상이나 전위가 있는 경우 나사나 볼트가 돌출될 위험이 있다. 또한 압력이 상승된 경우 나사 끝이 뇌에 닿아 측정값이 부정확할 수 있다.
셋째, 경질막상 장치(epidural device)는 공기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를 경질막과 두개골 사이에 삽입하여 압력을 측정한다. 이 또한 뇌실내 도관 삽입이 어려운 경우에 활용할 수 있으며,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 그러나 두개골이나 천문을 봉합해야 하고, 외상이나 전위가 있는 경우 나사나 볼트가 돌출될 위험이 있다.
마지막으로, 광섬유 변환장치(fiberoptic device)는 뇌실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