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5개
-
해부생리학문제2025.01.301. 해부생리학 문제 1.1. 신경계 해부생리 1.1.1. 뇌와 척수발달 신생아의 두개골은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고 유동적이다. 이는 두개골의 성장과 발달을 위함이다. 뇌와 척수는 두개골과 척추에 의해 보호되며, 3층의 뇌막(경막, 거미막, 연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뇌척수액은 뇌와 척수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무색투명한 액체이다. 신생아 1일 분비량은 24ml이나 성인은 720ml로 늘어난다. 신생아의 뇌혈류는 성인의 50%로 적지만 중추신경계의 대사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유지된다. 또한 뇌압도 출생 시 낮지만 점차 증가하여 ...2025.01.30
-
vp shunt2024.11.091. 뇌 해부학 1.1. 뇌실 뇌실은 뇌 안에 있는 빈 공간으로, 좌우측뇌실·제3뇌실·제4뇌실로 이루어져 있다. 뇌실은 이 4개의 강소가 교통하고 있고, 각 뇌실에는 맥락총이 있어 뇌척수액을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뇌실 안은 뇌척수액으로 가득 차 있다. 좌우의 대뇌반구 속에는 각각 측뇌실이 있으며, 좌우 실간공에서 간뇌의 제3뇌실에 이어져 있다. 중뇌 안에 있는 가느다란 관인 중뇌수도를 거쳐 소뇌·교·연수 사이에 있는 제4뇌실과 연결된다. 그 아래쪽으로 뇌실의 연장인 척수의 중심관에 이어져, 그 전체와 연결된다. 측뇌실은 ...2024.11.09
-
NICU 아동간호 수두증 간호과정2024.11.211. 서론 1.1. 수두증의 정의와 배경 수두증이란 '머리에 물이 많이 차있는 증세' 라는 뜻으로, 두개 내에서 정상적인 대사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물인 뇌척수액이 생성되고 일정한 통로를 거쳐 정맥혈(상시상정맥) 속으로 흘러들어가 흡수되는 과정에서 뇌척수액의 생산과 흡수기전의 불균형이나 뇌척수액 순환 통로의 폐쇄로 인하여 뇌실 내 또는 두개강 내에 뇌척수액이 과잉 축적되는 동적 상태를 말한다. 쉽게 말하면, 뇌 속에서 정상적으로 일정량의 뇌척수액은 계속 생성되는데, 흡수되는 양은 상대적으로 적어서 점차로 생성된 뇌척수액이 뇌 속에 ...2024.11.21
-
Sdh 시나리오2024.09.021. 성인간호학 시뮬레이션 A+ 1.1. 중추신경계 1.1.1. 뇌와 구조와 기능 뇌(brain)는 중추신경계를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인 기관이다. 뇌의 무게는 성인의 경우 체중의 약 2%에 해당하는 1,300~1,500g 정도이다. 뇌는 작용과 기능에 따라 대뇌(cerebrum), 소뇌(cerebellum), 간뇌(diencephalon), 뇌간(brain stem)으로 구분된다. 대뇌피질(cerebral cortex)은 주요 기능에 따라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으로 나뉘며, 각 영역마다 특화된 역할을 담당한다. 전...2024.09.02
-
EVD 모니터링2024.09.051.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1.1. 정의 및 정상범위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은 두개강 내의 압력으로서 두개 내의 2가지 구성요소인 뇌조직, 뇌척수액, 혈액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이다. 정상범위는 5~13mmHg(0~15mmHg)으로 본다. 20mmHg 이상은 두개내압 상승을 의미한다. 1.2. 두개내압 상승과 저하의 임상적 특징 ICP 상승의 임상적 특징은 의식수준의 저하, 활력징후의 변화, 동공반사의 변화, 운동과 감각의 변화, 두통, 구토, 경련 등이 있다. 의식수준의 ...2024.09.05
-
성인간호학 시뮬레이션2024.08.281. 중추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1.1. 뇌의 구조와 기능 1.1.1. 대뇌피질 대뇌피질은 신체활동과 인지기능을 관장하는 대뇌의 가장 외층이자 핵심적인 부위로, 기능에 따라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으로 구분된다. 전두엽은 운동, 감정, 언어 등의 고차원적 기능을 담당하며, 두정엽은 감각, 공간, 신체상 인지 등을, 측두엽은 청각과 기억을, 후두엽은 시각 처리를 주관한다. 전두엽은 운동피질, 전운동영역, 브로카 영역으로 분류되는데, 운동피질은 신체의 자발적인 운동을 제어하고, 전운동영역은 운동조절과 긴장도 조절에 관여하...2024.08.28
-
iicp2024.08.281. 두개내압 상승 1.1. 정의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ICP)은 두개골 내에 있는 뇌, 혈액, 뇌척수액으로 이루어진 압력을 말한다. 정상 두개내압은 5-15 mmHg 수준이며, 이는 이 세 가지 구성 성분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만약 이 중 한 가지 성분이 늘어나게 되면 다른 두 가지 성분의 양을 줄여 전체적인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한다. 예를 들어 뇌혈액량이 늘어나면 뇌척수액의 생성이나 배출을 조절하여 압력을 조절한다. 그러나 이런 보상 기전에도 불구하고 두개내 압력이 지속적으로...2024.08.28
-
뇌수막염2024.08.271. 뇌수막염의 정의 1.1. 뇌수막의 구성 뇌수막(meninx)은 해부학적으로 가장 깊은 곳에서 뇌를 감싸고 있는 연질막(pia mater), 연질막의 밖에서 뇌척수액 공간을 포함하고 있는 거미막(arachnoid mater), 그리고 가장 두껍고 질기며 바깥쪽에서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있는 경질막(dura mater)으로 구성된다"."뇌수막은 척수로 연장되므로, 보다 정확하게는 뇌척수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2. 뇌수막염의 발생 위치 뇌수막염은 일반적으로 거미막과 연질막 사이에 존재하는 거미막밑 공간(subarachno...2024.08.27
-
ICH, IVH, 수두증 환자 성인간호 사례연구2025.01.221. 서론 1.1. 연구 배경 수두증 환자 성인간호 사례연구 SICU를 실습하면서 NS 환자가 매우 높은 비율이었음을 알 수 있었고, 그 중 대부분의 환자들이 ICH, IVH, Acute hydrocephalus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SICU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수두증 환자에게 어떤 식으로 간호를 하는지 공부하여 추후 수두증에 대해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필요성을 느꼈다. 따라서, 이번 case study를 통해 실제 임상에서는 어떠한 식으로 수두증에 대한 간호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볼 뿐만 아니라, 수두증에 대한 지식도 ...2025.01.22
-
수두증 환자에게 확인할수 있는 간호문제2024.09.021. 수두증 1.1. 수두증의 정의와 병태생리 뇌에는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이라는 맑은 체액이 뇌의 안과 밖을 채운 채 순환하고 있다. 뇌의 안쪽에는 뇌실(ventricles)이라는 작은 빈 공간들이 있으며 이 곳에 있는 맥락총 혈관(choroids plexus vessels)에서 뇌척수액이 만들어진다. 뇌척수액은 혈액에서 적혈구나 백혈구 세포들이 제거된 혈장과 비슷한 액체이며, 생성된 뇌척수액은 뇌실의 구역을 따라 흘러서 소뇌 주변의 제4뇌실의 출구(basal foramina: foramina o...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