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자궁탈출증은 자궁이 정상 위치에서 아래쪽 또는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자궁의 일부 혹은 전체가 질을 통해 빠져나오는 것이다. 실제로 자궁은 골반 안에 있으므로, 자궁이 질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이라기보다는 자궁이 질을 밀어내어 질이 뒤집히는 것이라는 설명이 더욱 정확하다. 이외에도 다른 골반 장기 탈출증이 동반될 수 있다. 자궁탈출증은 자궁을 지지해 주는 인대의 접착부인 질상부의 지지가 좋지 않아 발생한다. 노년이나 비만한 여성, 출산을 많이 한 여성, 분만 시 난산을 하였거나 이로 인해 골반 근육이 약한 여성, 천식과 같은 질환으로 기침을 자주 하는 환자, 만성 변비 환자에게서 발생하기 쉽다.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들거나, 쪼그려 앉아서 오래 일을 하는 등의 행동은 자궁 탈출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며, 가족력도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자궁탈출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질 밖으로 어떤 물질이 돌출되어 나오는 느낌과 압박감이다. 일반적으로 누워있는 자세에서 증상이 완화되고, 오후 시간에 오랫동안 서 있는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자궁탈출증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 간호 및 예방, 합병증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자궁탈출의 정의
자궁탈출증은 자궁이 정상 위치에서 아래쪽 또는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자궁의 일부 혹은 전체가 질을 통해 빠져나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자궁이 질을 밀어내어 질이 뒤집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직장류, 방광류, 탈장 등 다른 골반 장기 탈출증이 동반될 수 있다.
2.2. 원인
노년이나 비만한 여성이 위험요인이 되며, 출산을 많이 한 여성, 분만 시 난산을 하였거나 이로 인해 골반 근육이 약한 여성, 천식과 같은 질환으로 기침을 자주하는 환자, 만성 변비 환자에게서 발생하기 쉽다.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들거나, 쪼그려 앉아서 오래 일을 하는 등의 행동 또한 자궁 탈출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족력이 중요한 요인이며,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특히 조심해야 한다.
자궁탈출증은 자궁을 지지해 주는 인대의 접착부인 질상부(supravaginal portion; 질 윗부분)의 지지가 좋지 않아 발생한다. 골반 지지 구조물의 약화로 인해 자궁 이외에도 직장, 소장, 방광 등이 질강(vaginal atrium) 쪽으로 탈출할 수 있다.
2.3. 임상증상
자궁탈출증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질 밖으로 어떤 물질이 돌출되어 나오는 느낌과 압박감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일반적으로 누워있는 자세에서 증상이 완화되고, 오후 시간에 오랫동안 서 있는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골반의 팽만감이나 피로, 허리 하부 통증과 '모든 것이 빠져 나오는' 느낌으로 묘사된다. 방광탈출인 경우 아래가 묵직한 느낌, 압박감 등을 느끼며, 소변을 볼 때 불편함을 느끼고 요도와 하부 자궁벽의 지지가 감소하여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과 요폐색, 빈뇨(Urinary frequency), 변비(constipation)나 설사(diarrhea)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자궁탈출의 증상은 하강하는 무게에 의해 초래되고 골반의 압력감, 요통(lumbago), 피로가 포함된다. 자궁경부가 질의 입구로부터 돌출되어 나오면 자궁경부궤양과 출혈이 발생한다.
2.4. 진단검사
골반 내진을 통해 탈출된 장기와 결손 부위를 확인한다. 많은 자궁탈출증 환자에게서 요도의 과운동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사도 함께 시행한다. 또한 자궁탈출증 환자의 경우 요도가 꺾이면서 요실금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소변을 못보는 경우도 있으므로 요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배뇨 후 잔뇨량을 측정한다. X-ray로 자궁의 윤곽과 위치를 명확하게 확인하여 자궁탈출증을 진단할 수 있다.
2.5. 치료
증상이 없는 자궁탈출증은 치료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