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관리 협력과 조정 물리치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의료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의 중요성
1.1. 협력관계의 필요성과 중요성
1.2. 업무조정 역할의 필요성과 중요성
2. 의료현장 내 업무관계 분석
2.1. 간호사와 의사간의 협력관계
2.2.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간의 협력관계
2.3. 간호사와 약사간의 협력관계
2.4. 간호사와 물리치료사간의 협력관계
2.5. 간호사와 방사선사간의 협력관계
2.6. 간호사와 임상병리사간의 협력관계
2.7. 간호사와 영양사간의 협력관계
2.8. 간호사와 행정직원간의 협력관계
3. 간호사의 역할
3.1. 협력자의 역할
3.2. 조정자의 역할
3.3. 구체적 업무조정 역할
4. 보건의료팀 내 협력 및 업무 조정이 잘 되지 않는 사례
4.1. 사례 분석 및 문제점
4.2. 해결방안
5. 보건의료 전문분야 간 협력의 중요성
5.1. 의사소통과 팀워크의 중요성
5.2. 환자안전 및 의료서비스 질 향상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건의료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의 중요성
1.1. 협력관계의 필요성과 중요성
보건의료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매우 크다. 환자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보건의료 전문분야 간의 협력 정도는 환자 치유라는 공통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환자를 중심으로 한 의료진 간의 협력은 보건의료서비스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에 따라 병원 내에서 뿐만 아니라 병원과 기관, 기관과 기관에서 갈등이 일어나는 여러 변수를 조사하고 갈등관리 유형을 파악하는 등의 연구가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복잡해지고 있는 병원조직에서 전문분야 간 협력은 더욱 더 강조될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뿐만 아니라 환자와 관련된 직무를 맡은 자들은 각자 협력적인 병원문화를 만들기위해 개인적으로도 노력해야할 것이다..
1.2. 업무조정 역할의 필요성과 중요성
업무조정은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조직 구성원들의 행동을 통일하고 집단의 노력을 질서 있게 배열함으로써 조직의 존속과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즉, 조직 내의 모든 구성원이 자신의 조직과 부서의 목적달성을 위해 합심하여 같이 기여해야 한다는 원리이다. 만약 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각 부서의 구성원들은 자신의 역할은 이해하지 못한 채 분업화되고 전문화된 위치에서만 자신의 조직을 보게 되어 조직 전체의 목적을 희생시킬 수 있다.
특히 현대 병원과 같이 분업과 전문화가 매우 심화된 의료조직은 조직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고 각 하부 시스템 간에 시너지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통합하고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료조직의 특성대로 간호부서의 업무는 모두 독자적이지 않으며, 보건의료 전문분야 내에서 간호팀에 분담되어 상호 연계작용에 의해 체계적으로 수행되는 업무이다. 따라서 간호사의 업무조정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간호사의 업무조정 역할에는 환자 관리, 약품 관리, 지역보건 등이 포함된다. 환자 관리 시 원무과, 물리치료사, 영양사, 검사실 등 다양한 부서와의 업무 조정이 필요하다. 약품 관리 시에는 약사, 의사와의 조정이 중요하며, 지역보건 사업에서는 사회복지사, 물리치료사, 영양사 등 다양한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요구된다. 이처럼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최선의 돌봄을 제공하기 위해 보건의료 전문분야 간 업무를 조정하고 협력하는 역할이 필수적이다.
효과적인 업무조정은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환자에게 양질의 간호 및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하기에 매우 중요하다. 특히 보건의료기관은 여러 전문분야가 모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만큼 효과적인 업무조정과 갈등 해결이 결과에 큰 영향을 주고, 이는 환자의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타 조직보다 간호사의 업무조정 역할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의료현장 내 업무관계 분석
2.1. 간호사와 의사간의 협력관계
간호사와 의사는 전문직업으로서의 초점이 유사하며, 최근 급격한 의료 환경 변화로 인해 두 전문직 사이에 역할과 영역의 문제들이 상호작용하여 협력과 협동은 물론 갈등을 일으킬 많은 기회를 제공해 왔다"" 간호사와 의사 모두의 일차적 관심사는 환자의 건강-질병상태이다. 각각의 전문직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해 온 방법이 지난 수세기를 내려오면서 차이를 보여 왔다. 두 개의 전문직 사이에 있어서의 기능상에 중복된 부분이 어느 정도는 있지만 두 전문직의 초점은 독특하다""간호사와 의사는 전문직 간 초점이 유사하지만, 오랜 역사를 거치면서 각자의 독특한 역할과 업무 방식을 발전시켜왔다. 이에 따라 두 전문직 간에는 협력과 갈등의 기회가 공존하게 되었다. 하지만 공통된 관심사인 환자의 건강과 질병 관리를 위해 두 전문직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2.2.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간의 협력관계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간의 협력관계는 간호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간호조직의 목표는 간호대상자들에게 질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간호조무사와의 관계에 있어서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간호조무사는 간호사가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지를 항상 알고 있지는 못하며, 간호사보다도 더 오랜 시간을 일해 옴으로써 많은 경험을 갖게 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간호조무사의 자신의 적절한 판단에 대해 인정받지 못하고 존중받지 않는 경우가 있어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의 명확한 업무 분담과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 간호사는 간호조무사의 역할과 업무 범위를 명확히 인지하고, 간호조무사 또한 간호사의 기대와 요구사항을 이해할 수 있도록 상호 이해와 존중의 태도가 필요하다. 또한 정기적인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를 통해 상호 이해도를 높이고,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협력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요약하면,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의 협력관계는 질적인 간호서비스 제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상호 이해와 존중, 명확한 역할 분담, 지속적인 의사소통 등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고 협력 관계를 증진시켜 나가야 한다."
2.3. 간호사와 약사간의 협력관계
약사는 대상자들에게 약물치료를 위한 약을 의사가 작성한 처방전에 따라 제조 및 투약하는 업무를 실시한다. 하지만 병동 또는 대상자에게 약물을 배급할 때 발생하는 처방전 오류 및 조제오류로 인해 약품종류, 투여경로, 투여용량, 혼합비율 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약사는 제조 및 배급 시에 한 번 더 확인 해야한다. 또한 ...
참고 자료
엄영희 외, (2017), 간호관리학, 수문사
강경화 외1, (2016), 종합병원 진료협력간호사의 전문직업성, 역할갈등, 근무환경이 직무배타성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김세영 외4, (2017), 간호단위의 팀 효과성에 대한 고찰, 간호행정학회지
권의옥, (2018), 간호사-의사 협력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권의옥 외3, (2019), 간호사-의사 협력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광옥, (2015), 임상실무에서 간호사가 겪은 의사와의 의사소통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염영희 외11, (2020), 학습성과기반 간호관리학 개정 7판, 수문사
이영주, (2016), 병원간호사의 간호사 및 의사와의 협력에 대한 인식과 의료 오류 경험, 직 무 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이영주 외1, (2019), 간호사-간호사 및 간호사-의사 협력 정도와 의료 오류 발생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이임선, (2017), 병원 간호사와 의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의사소통 능력 및 협력 간의 관계』
정서희 외3, (2018), 수술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사 및 의사와의 협력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정선진 외, (2017),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및 간호 업무성과. 간호행정학회지
국가법령정보센터, 의료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D%98%EB%A3%8C%EB%B2%95/%EC%A0%9C2%EC%A1%B0
워크넷, https://www.work.go.kr/jobMain.do
이재혁, 2022.06.,“지역사회 돌봄, 보건의료‧사회복지 전문가가 동시에 케어플랜 설계해야”, 메디컬투데이,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85713067099,2023.3.11.
신미자 외, 2022, 간호관리학, 수문사, p.508~515
이미지, 이윤미, 신소영 and 조정현. (2022). 국내 보건의료 전문가의 협력적 실무 경험. 중환자간호학회지, 15(1), 47-57.
Casanova, J., Day, K., Dorpat, D., Hendricks, B., Theis, L., & Wiesman, S. (2007). Nurse-physician work relations and role expectation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7(2), 68-70
Ko, Y. K., Lee, T. W. and Lim, J. Y. (2007).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measurement scale for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286-294.
Tang, C. J., Chan S. W., Zhou, W. T., & Liaw, S. Y. (2013). Collaboration between hospital physicians and nurses: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60(3), 291-302.
김동식 외. (2009). 대학병원 조직내의 갈등해결유형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0(9). 2501-2508.
사례분석 기반 전자의무기록의 사용성 및 안전성 가이드라인 연구보고서. (2020).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환자안전사고 주제별 보고서. (2018). 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18 한국소비자원 보도자료. www.kc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