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초급 문법 '지만' 에 대한 지도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초급 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종결어미의 종류
2.2. '-는데'의 의미 및 기능
2.3. '-는데'수업 지도안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의 필요성은 계속해서 논의되어 왔다. 특히 의사소통 중심의 접근이 강조되면서 문법 교육에 대한 비판도 있어 왔지만, 성인 학습자의 경우 규칙을 통한 언어 학습을 선호하고 있으며 이를 한국어 학습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어의 경우 조사와 어미 등이 발달하여 복잡한 문법 형태가 존재하므로, 문법 교육은 한국어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초급 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종결어미 중 하나인 '-는데'를 선정하여 해당 문법 항목의 의미 및 기능,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는데'는 복잡하고 다양한 의미 기능을 가지고 있어, 초급 학습자에게 유용한 이유 제시 기능을 중심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선행 학습된 '-(으)니까'와 대치되는 점을 고려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는데'의 다양한 의미와 용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교수자의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 본론
2.1. 초급 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종결어미의 종류
한국어 교육 초급 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종결어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한국어 초급 과정에서는 '-습니다', '-어요', '-아/어요', '-지요', '-죠', '-에요', '-네요', '-군요', '-군', '-단말아', '-나', '-나요', '-구나' 등의 종결어미를 학습한다. 이러한 종결어미는 공식적이거나 비공식적인 상황에서 상대방과의 관계와 문장 의도에 따라 적절하게 구사할 수 있도록 가르친다. 즉, ...
참고 자료
조민하, '-는데'의 종결기능과 억양의 역할, 우리어문학회, 2011.
유민애,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는데’의 오류 원인 분석, 국제어문학회, 2018.
김승희, 한국어 교육용 문법항목의 제시 방안에 대하여 : 연결어미 '-는데'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2014.
책 저자 : 김 영란
책 제목: 『한국어 교육 교재와 연구』
출판사 : 소통
발행 출판 연도:2011년 3월 28일
책 페이지: 65페이지 두 번째 시작 단락
김민지 (2018).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이영희 (2019).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습득과 활용에 관한 연구."
김지수 (202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방법론“
김경숙(2010), “외국어로서의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지도 방안 모색”, 한국어교육연구.
김순길(2014), “기초단계의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방안”, 한중인문학연구.
손남익(2015), “문화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한국어의미학회.
이미영(2012),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지도 방안 제안”,
Foreign languages education.
두산백과(http://www.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