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인성교육2025년1학기 기말과제 청소년인성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자기초월의 개념과 인성교육적 의의
2.2. 자기초월 덕목 중 '감사'의 의미와 가치
2.3. 감사 덕목 증진을 위한 일상 속 실천 활동
2.3.1. 감사 일기 작성 활동
2.3.2. 감사 표현 실천 활동
2.4. 청소년인성교육을 통해 배운 점과 느낀 점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오늘날 우리는 물질적 풍요와 디지털 문명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살아가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인간관계의 단절, 공감 능력의 저하, 공동체 의식의 약화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이 함께 대두되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는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고 사회적 관계를 넓혀가는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경쟁 중심의 교육 환경과 개인주의적 문화 속에서 자기중심성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 성찰하고, 타인 및 공동체와 깊이 있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인성교육의 핵심 영역 중 하나가 바로 '자기초월'이다. 자기초월은 자신을 중심으로 한 사고와 행동에서 벗어나 타인, 사회, 자연, 또는 더 큰 의미와 가치와의 연결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넓혀가는 덕목이며, 자기초월 덕목 중 '감사'는 일상 속에서 비교적 쉽게 실천 가능하면서도, 정서적 안정, 긍정적 관계 형성, 삶의 만족도 향상 등 다양한 심리사회적 효과를 가져오는 중요한 인성적 자질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자기초월 덕목 중 '감사'에 주목하여 그 의미와 가치를 이론적으로 살펴본 후, 이를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한 두 가지 활동(감사 일기 작성 및 감사 표현 활동)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 과정을 통해 개인적으로 느끼고 배운 점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제를 통해 인성교육이 지향하는 인간적 성숙과 공동체적 삶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감사의 힘이 개인과 사회 모두에 어떠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는 기회를 가질 것이다.
2. 본론
2.1. 자기초월의 개념과 인성교육적 의의
자기초월(self-transcendence)은 심리학자 빅터 프랭클(Viktor Frankl)에 의해 강조된 개념으로, 인간이 고통을 딛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 자신보다 더 큰 가치나 존재와 연결되려는 태도이다. 청소년 인성교육에서 자기초월은 인성 발달의 최고 단계로 여겨지며, 개인이 타인을 이해하고 공동체에 기여하며 존재의 ...
참고 자료
김현수 외 (2022). 『청소년 인성교육론』. 학지사.
프랭클, V. E. (2007). 『죽음의 수용소에서』. 김영사.
Emmons, R. A., & McCullough, M. E. (2003).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2), 377–389.
박정윤 (2021). 『자기초월과 심리적 웰빙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교육부 (2023). 『학교 인성교육 지침서』.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과 청소년 활동 정책의 연계방안 연구, 한국 청소년 개발원 연구보고서
- 김현철(2010)
지역사회 청소년 진로 체험 활성화 및 연계 협력 방안 연구, 한국 청소년 정책 연구원
- 김기현, 맹영임(2010)
지역사회에서 청소년 동아리 활동 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서울 : 한국 청소년 개발원
- 김정주, 김용대, 성 기원 (2003)
청소년 체험활동의 교육 심리학적 논리와 근거 – 김종백 (2010), 청소년 체험활동 개념 정립을 위한 세미나
하혜숙, 황매향, 여태철, 강지현. (2018). 청소년 인성교육.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조미경(2017).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의 융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