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내분비계 기능장애 성조숙증 요붕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아동간호학 내분비계 기능장애 성조숙증 요붕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간호학
1.1. 내분비계 기능장애
1.1.1. 뇌하수체저하증
1.1.2. 뇌하수체항진증
1.1.3. 성조숙증
1.1.4. 요붕증
1.1.5. 항이뇨호르몬부적절분비증후군
1.2. 갑상선기능장애
1.2.1. 연소성 갑상선저하증
1.2.2. 갑상선종
1.2.3. 갑상선항진증
1.3. 부갑상선기능장애
1.3.1. 부갑상선저하증
1.3.2. 부갑상선항진증
1.4. 부신피질기능장애
1.4.1. 급성부신피질부전증
1.4.2. 쿠싱증후군
1.4.3. 선천성 부신성기 과형성증
1.4.4. 크롬친화세포증
1.5. 췌장호르몬 분비 기능장애
1.5.1. 당뇨병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간호학
1.1. 내분비계 기능장애
1.1.1. 뇌하수체저하증

뇌하수체저하증은 뇌하수체 호르몬의 분비 결핍이나 감소로 나타나며, 임상적 양상은 기능장애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다. 생식샘자극호르몬 부족으로 인해 아동의 이차성징 부재 또는 결핍을 초래하고, 성장호르몬 부족으로 인해 아동의 신체 성장 지연을 나타낸다. 또한 갑상선 자극호르몬 결핍으로 갑상선저하증을, 부신피질자극호르몬 결핍으로 부신의 기능저하를 일으킨다. 뇌하수체저하증은 프로게스테론과 테스토스테론 부족으로도 발생하며, 가장 흔한 원인은 뇌하수체나 시상하부의 종양이다.

선천적인 뇌하수체저하증은 신생아에게서 발견되며, 가족력이 있거나 유전되는 경향이 있고 저혈당증과 경련 증상을 보인다. 특발성 뇌하수체저하증도 성장호르몬 결핍과 관련되며, 신체 모든 세포의 성장을 방해한다. 범뇌하수체저하증의 임상양상으로는 성장호르몬, 갑상선자극호르몬, 성선자극호르몬, 부신피질자극호르몬, 항이뇨호르몬, 멜라닌 자극호르몬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 평가를 위해서는 가족력, 아동의 성장 유형과 건강상태, 신체검진, 정신사회적 검사, 방사선촬영, 내분비선검사 등을 실시해야 하며, 특히 성장호르몬 자극검사가 필요하다. 치료로는 근본적 질환에 대한 치료와 함께 성장호르몬 보충요법이 효과적이며, 이때 성장호르몬은 취침 시 투여하는 것이 최적용량에 도달할 수 있다. 간호중재로는 아동과 가족에 대한 지지, 자가간호 교육, 투여 방법 안내 등이 포함된다. []


1.1.2. 뇌하수체항진증

뇌하수체항진증은 뇌하수체에서 과다하게 성장호르몬이 분비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골단판이 조기에 폐쇄되어 신장이 과도하게 성장하게 된다. 뇌하수체항진증 환자는 신장이 240cm 이상까지 자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근육과 장기도 급격하게 발달하게 된다. 머리둘레 또한 증가하여 어린 아동에서는 천문이 늦게 폐쇄될 수 있다.

뇌하수체 분비 종양이 있는 경우에는 두개 내압 상승으로 인한 두통 증상을 보일 수 있다. 골단이 폐쇄된 후에는 횡적 성장으로 인한 말단비대증이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얼굴, 입술, 코, 혀, 턱, 부비동, 유양돌기 등이 과잉 성장하고 비대해진다. 또한 체모가 많아지고 피부가 두꺼워지며 깊은 주름이 생기게 된다. 고혈당과 당뇨병이 생길 확률 또한 높아진다.

뇌하수체항진증은 과도한 성장을 나타내는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 자란 키를 줄이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그 이상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은 가능하다. 치료를 빨리 시작할수록 정상 성인 신장에 가까워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두통이나 성선자극호르몬 과분비로 인한 성조숙 증상에 대해서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키가 크다고 해서 정서적 지지가 필요 없는 것은 아니며, 키가 작은 아동만큼 정서적 지지가 필요하다.


1.1.3. 성조숙증

성조숙증은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사춘기의 시작 시기보다 빨리 나타나는 것이다. 9세 이전의 남아나 8세 이전의 여아에게서 성적 발달이 나타난다면 추가검사가 필요하다. 정상적으로 사춘기에 시상하부 분비인자가 뇌하수체 전엽의 성선호르몬의 분비를 자극하여 성적 발달이 시작되지만, 성조숙증은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축의 조기 활성화로 인한 것이다.

성조숙증의 치료를 위해 황체형성호르몬-방출호르몬의 유사 화합물을 매달 주사한다. 치료 초기에는 가슴발달이 지연되거나 정지되는 성장속도를 보이다가 곧 정상 성장속도를 회복한다. 그러나 모든 아동이 성인 신장 목표치에 도달하는 것은 아니므로 부가적인 성장호르몬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치료의 중단은 실제적인 사춘기의 변화가 시작될 때쯤 이루어진다.


1.1.4. 요붕증

요붕증은 뇌하수체 후엽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주요한 장애이다. 항이뇨호르몬 또는 바소프레신의 분비가 저하되어 이뇨가 제대로 조절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요붕증의 주된 증상은 다뇨와 다갈이다.

요붕증의 일차적인 원인은 가족력 또는 특발성이며, 전체 질환의 약 20~50%를 차지한다. 이차적인 원인으로는 외상, 종양, 육아종, 감염, 혈관기형 등이 있다.

영아의 경우 초기 증상으로 불안정이 나타나며, 물을 먹이면 증상이 완화된다. 영아에게서는 탈수증, 전해질 불균형, 체온상승, 질소혈증, 순환성 허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요붕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정상적으로 수분섭취가 줄어들면 소변이 농축되고 양이 줄어드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요붕증의 경우 수분섭취의 제한이 소변 형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탈수로 인해 체중감소가 나타난다. 수분섭취와 배뇨량, 소변 농축 정도, 체중 측정을 해야 한다. 검사 결과가 양성이면 수용성 바소프레신을 투여하여 다뇨증과 다갈증이 완화되는지 관찰한다.

요붕증의 일반적인 치료법은 매일 바소프레신 호르몬을 보충해주는 것이다. 바소프레신은 근육주사, 피하주사, 비강 스프레이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간호 중재로는 배뇨훈련이 끝난 아동의 갑작스러운 야뇨증, 심한 갈증과 유뇨증이 ...


참고 자료

아동간호학 각론, Marilyn J. Hockenberry 외, 현문사(2018)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Terry Kyle, Susan Carman,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현문사(2017)
2018학년도 아동간호학 실습지침서(Pediatric Nursing Practice Guide Book & Work book)
성인간호학 (2019).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2020). 수문사. 송경애 외
포널스임상매뉴얼(2020). 포널스출판사. 대한남자간호학교수협의회 편저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과정 실무지침(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1(2016).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신은주 옮김
한국 천식진료지침(2021).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오재원 외
논문: 『성인 천식환자의 자가관리교육 중재의 효과 메타분석』(2015).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9 No.3, p.175-185. 김무영 외
논문: 『천식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과 흡입기 사용에 대한 인지 및 실천』(2008). 기본간호학회지. Vol.15 No.4, p.418-427. 우승희 외
논문: 『운동 유발성 기도 수축』(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1 No.6, p.720-72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박흥우
논문: 『천식과 흡연과의 관계』(2018). 대한 알레르기 호흡기학회지. Vol.81 No.6, p.137-140.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이주석
논문: 『Asthma』(2018). Allergy, Asthma & Clinical Immunology. 14(2):50, p.15-30.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 Canada. Jaclyn Quirt et al.
서울아산병원: www.amc.seoul.kr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 www.kaaf.org
약학정보원: www.health.kr
킴스온라인: www.kimsonline.co.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