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응급실 케이스 strok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응급실 사례 선정 이유
1.2. 뇌졸중 발생률 및 추세
2. 문헌고찰
2.1. 뇌졸중의 정의 및 원인
2.2. 뇌졸중의 병태생리 및 기전
2.3. 뇌졸중의 종류
2.4. 뇌졸중의 증상
2.5. 뇌졸중의 진단방법
2.6. 뇌졸중의 치료와 간호
2.7. 뇌졸중의 예후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1.1. 일반적 사항
3.1.2. 병력기록
3.1.3. Dx(or Impression)
3.1.4. 행선지
3.1.5. 신체사정
3.1.6. 응급검사
3.1.7. 사용된 약물
3.2. 간호진단
3.3. 간호우선순위
3.4. 간호과정
3.5. 경과 및 환자의 반응
4. 느낀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응급실 사례 선정 이유
실습이 이루어 졌던 응급실은 외래에서 온 응급 환자를 위해 일시적으로 환자를 수용하여 응급처치를 하는 병실로 일반 병실들과는 다르게 KTAS라는 응급환자 분류도구를 통해 중증도를 분류하여 높은 순위의 환자부터 순차적으로 응급처치를 시행하고 있었다. 제가 선정한 뇌졸중환자의 경우 KTAS 중중도 3순위에 해당하는 응급환자였으며 뇌졸중으로 인한 좌측 편마비의 증상을 보여 응급실로 내원하게 되었다. 응급실의 다양한 사례 중 뇌졸중환자의 사례를 선정한 이유는 뇌졸중이 인간에게 중요한 신체기관 중 한곳인 뇌혈관에 발생하는 질병이고 뇌졸중의 종류도 생각했던 것 보다 다양해서 흥미가 생겼는데 17년도에 통계된 뇌졸중 발생률이 전국적으로 증가하고있는 추세라서 뇌졸중이 왜 생기며 어떻게 예방을 할 수있는지 뇌졸중에 걸리면 어떤 치료와 간호를 해야하는지등에 대한 공부를 하고싶어서 사례로 선정하게 되었다.
1.2. 뇌졸중 발생률 및 추세
뇌졸중은 인간의 중요한 신체기관 중 하나인 뇌혈관에 발생하는 질병이다. 국가통계포털 KOSIS에 따르면 2017년 통계상 뇌졸중 발생률이 전국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실제로 응급실에서도 뇌졸중 환자들이 많이 내원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뇌졸중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등 뇌졸중의 주요 위험요인들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뇌졸중의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뇌졸중의 유형,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필요하며, 응급실에서의 신속하고 전문적인 처치가 환자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보건의료 전문가들의 뇌졸중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1,2,3]
2. 문헌고찰
2.1. 뇌졸중의 정의 및 원인
뇌졸중은 뇌기능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급속히 발생한 장애가 상당 기간동안 지속되는 것으로 뇌혈관의 병 이외에는 다른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뇌졸중은 뇌혈관 질환과 같은 말이며 흔히 중풍이라고도 불린다. 뇌졸중은 뇌경색(허혈성 뇌졸중)과 뇌출혈(출혈성 뇌졸중)로 나누어진다. 우리나라에서는 허혈성 뇌졸중이 약 8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뇌졸중은 허혈성 또는 출혈성에 따라 발생원인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등의 위험인자를 갖고 있는 사람에서 발견되는 동맥경화에 의하여 발생한다. 그 외에 심장 부정맥 및 심부전증에 의한 심인성 뇌경색, 각종 유전적 원인으로 발생하는 허혈성·출혈성 뇌경색 등이 알려져 있고, 뇌출혈의 경우 다른 위험 인자에 비해 고혈압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뇌혈관이 폐색되어 뇌조직이 손상되는 데에는 여러 가지 기전이 작용하는데,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혈전이 만들어지고 혈전의 조성이 다르며 이에 따라 뇌졸중 예방을 위한 약물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혈관이 폐색된다고 해서 모든 환자에게 같은 크기의 뇌경색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곁순환의 존재와 정도, 그리고 전신순환 상태에 따라 뇌경색의 크기에 차이가 있다. 시간도 중요한데, 혈관이 폐색되어 혈액이 공급되지 않게 되면 먼저 뇌조직의 기능이 없어지고 더욱 시간이 지나면 비가역적인 손상이 발생한다.
2.2. 뇌졸중의 병태생리 및 기전
뇌세포는 지속적인 혈류공급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고 이산화탄소와 젖산 등의 대사산물을 제거한다. 그러나 뇌의 혈류가 감소하면 수분 내에 뇌조직이 영구적으로 손상된다. 뇌는 자동조절 기능이 있어 분당 1,000cc 정도로 뇌의 혈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뇌졸중은 동맥의 손상으로 인한 뇌조직의 허혈현상으로 뇌기능이 손상되는 것이다. 뇌의 저산소증, 무산소증, 저혈당증은 허혈부위의 신경세포와 신경아교세포 및 조직을 경색, 괴사시킨다.
뇌혈관이 폐색되어 뇌조직이 손상되는 데에는 여러 가지 기전이 작용한다. 먼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등의 위험인자에 의해 혈전이 만들어지고, 그 원인에 따라 혈전의 조성이 다르다. 또한 동일한 혈관이 폐색된다고 해서 모든 환자에게 같은 크기의 뇌경색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곁순환의 존재와 정도, 전신순환 상태에 따라 뇌경색의 크기에 차이가 있다. 시간도 중요한데, 혈관이 폐색되어 혈액이 공급되지 않게 되면 먼저 뇌조직의 기능이 없어지고 더욱 시간이 지나면 비가역적인 손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손상은 뇌 안의 신경 세포와 혈관을 포함한 모든 해부학적 구조에서 나타나고, 매우 다양한 기전이 조직 손상에 관여하게 된다.
2.3. 뇌졸중의 종류
뇌졸중은 크게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으로 나뉜다. 허혈성 뇌졸중은 혈전이나 색전으로 뇌동맥이 폐색되어 발생한다. 그 중에서도 큰동맥죽경화증, 열공뇌졸중, 심장성색전증, 기타 원인에 의한 뇌졸중 등으로 구분된다.
큰동맥죽경화증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 등의 위험요인으로 인해 혈관내벽에 콜레스테롤이 침착되어 혈관이 점차 좁아져 뇌경색이 발생한다. 열공뇌졸중은 뇌의 작은 혈관이 고혈압 등으로 인해 막혀서 발생한다. 심장성색전증은 심장질환으로 인해 생긴 혈전이 뇌로 이동하여 막혀서 발생한다. 그 외에도 혈관이 찢어지거나 염증으로 막히는 경우, 유전 혈관질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
출혈성 뇌졸중은 뇌조직 내부나 뇌를 싸고 있는 공간에서 출혈이 발생하여 생기는 뇌졸중이다. 그 중에서도 뇌내출혈과 거미막하출혈로 구분된다. 뇌내출혈은 고혈압으로 인해 동맥벽이 파열되어 발생하며, 거미막하출혈은 뇌동맥류가 파열되어 발생한다. 또한 동정맥기형으로 인한 출혈성 뇌졸중도 있다.
이처럼 뇌졸중은 ...
참고 자료
http://kosis.kr/ (국가통계포털,뇌졸중 환자수 표)
https://www.msdmanuals.com/ko-kr/홈 (MSD매뉴얼,뇌졸중)
http://www.cdc.go.kr/CDC/cms/content/mobile/13/69113_view.html http://me2.do/GywZ71sW (삼성서울병원,뇌졸중)
http://me2.do/GSwaDjvo (아산병원,뇌졸중 질환백과)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원종순 외3) 현문사 제 2판 NANDA간호과정
성인간호학 하권(황옥남 외8) 현문사 제 7판 뇌졸중
황옥남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하)(p.432~449).현문사
조경숙 외(2016),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460-474
김조자 외(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p.437-510
국제간호진단협회(2013), 간호진단 : 정의와 분류, 2012-2014, 정담미디어, p.413,414,416
박은영 외(2016),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p.214-219, 233-236
김남영 외(2009), 중환자간호, 현문사, p. 276-277, 358-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