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듣기의 개념과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외국어 듣기 교육의 흐름과 듣기 교육이 변화가 된 원인에 대해 서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듣기의 개념과 중요성
1.2. 외국어 듣기 교육의 흐름
2. 본론
2.1. 듣기 개념과 중요성
2.2. 외국어교육의 흐름과 듣기 교육의 변화 원인
2.2.1. 외국어교육의 흐름
2.2.2. 듣기 교육의 변화 원인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듣기의 개념과 중요성
듣기의 개념과 중요성이다.
듣기란 대화 상대자로부터 들려오는 음성정보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과정으로 읽기와 함께 이해라는 측면에서 하나로 묶을 수 있다. 여기서 이해 활동이란 것은 언어를 매개로 하여 전달되는 음성 또는 문자 언어 등을 이해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며 이중 듣기는 청자가 듣고 인지과정을 거치는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중 이해활동에 포함되는 듣기와 읽기의 경우 수동적은 측면이라는 인식이 강했으나 이해활동에 대해서는 창조적이고 역동적이며 능동적 과정을 거친다고 할 수 있다.
실생활에서의 듣기의 비중은 여타 의사소통 능력보다 매우 높으며, 전체의 비중에서 45% 정도를 차지한다. 이후 말하기 영역이 30%, 읽기가 16%, 쓰기가 9% 정도이다. 이러한 듣기의 중요성은 외국어를 배우는 언어습득 체계의 변화에 따라 달라져 왔는데, 과거에는 구조적 언어관을 가지고 학습을 진행했기 때문에 듣기에 대한 교육이 이뤄지지 않았고 주로 문법과 어휘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이러한 교수법들에는 문법번역식 교수법, 청각구두식 교수법, 침묵 교수법, 전신반응 교수법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후 기능적 언어관의 등장으로 언어란 것은 기능적인 의미 표현의 수단으로 보고 의미와 기능에 따른 의사소통과 문법, 어휘 등을 주로 다루게 되었다. 또한 상황중심 교수법을 통해 본격적으로 의사소통을 중점적으로 가르친 학습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호작용적 언어관에서는 언어는 대인관계의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 보고 실생활과 관련된 대화, 의사소통(음성/문자 언어 포함) 등을 중점적으로 가르쳤고 이 속에는 의사소통식 교수법, 과제중심 교수법, 총체적 교수법, 내용중심 교수법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교수법의 변화 속에서 듣기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어왔다.
1.2. 외국어 듣기 교육의 흐름
외국어 듣기 교육의 흐름은 시대적으로 변화하면서 듣기 교육에도 영향을 미쳤다. 전통적인 외국어교육은 문법번...
참고 자료
강현화, 김미옥, 김제열, 우인혜, 이숙(2009), 한국어 이해 교육론, 서울:형설출판사.
김신혜(2002). 최근 영어교육의 흐름과 실제. 동서문화, 35(),1-32.
조항록(2006), 「효율적인 한국어 듣기 교육을 위한 기본 원리와 실제」, 한국어어문화학 3(1), 153-176.
향서(2018). 예능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 연구 : 고급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혜진, 듣기 교육의 실제성 요소가 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2011-12
이정희, 한국어교육을 위한 외국어 습득의 이해, 하우, 2019.
양명희 외, 한국어듣기교육론, 신구문화사, 2011.
송향근, 한국어교육론 (예비교사를 위한), 하우,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