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만성신부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2. 본론
2.1. 간호사정
2.1.1. 개인력
2.1.2. 건강력
2.1.3. 간호력
2.1.4. 신체사정(physical examination)
2.1.5. 진단을 위한 검사
2.1.6. 치료 및 간호
2.2. 간호과정
2.2.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2.2.2. 간호과정 기록지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3년 기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인구 10만 명당 성별·연령별 '만성 신부전증' 진료현황에서 인구 10만 명당 302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366명, 여성이 237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1.55배 더 많았다. 연령별로는 80세 이상이 1,758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70대 1,520명, 60대 856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성 진료인원은 여성에 비해 80세 이상에서는 2.57배, 70대는 2배, 60대에는 1.86배 많았다. 또한 65세 이상 진료인원은 65세 미만의 8.81배이고, 남성은 10.12배, 여성은 8.07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만성 신부전(CRF)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함양하여 주원인인 고혈압, 당뇨성 산증을 정확히 파악하여 신장질환을 예방하고 말기신부전의 치료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공부를 통하여 대상자와 주위의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만성 신부전의 정의
만성 신부전이란 신장이 체내 환경을 더 이상 적절히 유지하지 못하고, 신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사구체 여과율(GFR)이 정상의 30% 이하로 저하하고, 고질소혈증(혈청 크레아티닌>1.4mg/이)이 3개월 이상 계속되면 진단을 확정한다.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다음의 5단계로 나누어지며, 잘 관리하지 않으면 마지막 단계로까지 악화되어 결국은 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신장대체 요법을 해야 한다.
만성 신부전의 원인
만성콩팥기능상실의 원인은 복잡하며 콩팥기능의 점진적인 손실을 가져오는 질병은 다양하다. 2017년 대한 신장학회의 조사에 따르면 콩팥기능대체요법이 필요한 말기콩팥기능상실의 발병 원인은 당뇨병(50.2%), 고혈압(20.3%), 만성사구체신염(만성토리콩팥염, 8.4%)순으로 나타나 당뇨병이 차지하는 비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만성 신부전의 병태생리
콩팥의 70~80%가 기능을 하지 못하더라도 효과적인 GFR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손상받은 콩팥단위 (네프론)가 기능을 하지 못해도, 남은 정상 콩팥단위가 이를 보상하기 때문이다. 이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보상기전이 파괴되어 콩팥기능부전상태가 된다. 그 결과 토리여과율이 감소하고, 소변생성과 수분배설에 이상이 오며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한다.
만성 신부전의 증상
만성콩팥기능상실에서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신경계 증상으로는 권태감과 낮시간의 졸림, 집중력 저하, 집중시간 감소, 발작, 혼수, 말이 어눌함, 고정자세 불능, 진전, 뒤틀림, 간대성 경련, 운동실조(보행장애), 감각이상 등이 있다. 심혈관계에서는 심근병, 고혈압, 말초부종이 있고, 울혈성 심부전, 요독성 심낭염 등이 발생한다. 호흡기계에서는 요독성 구취증, 빈호흡, 깊은 한숨, 하품, Kussmaul 호흡, 요독...
참고 자료
황옥남 외 「제7판 성인간호학 하권」 :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아산병원 질병백과_만성 신부전
NANDA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차영남 외, 현문사, 2013년
질병에 따른 간호과정과 임상경로, 임난영 외, 현문사, 2000년
병리학, 김정혜·박혜숙, 정담미디어, 2013년
성인간호학(하), 조경숙 외, 현문사, 2014년
건강사정, 임경춘 외, 정담미디어, 2013년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Kims 의학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Manual of nursing practice, 병원간호사회, 현문사, 2009년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www.labtestsonline.kr/
대한신장학회 http://www.ksn.or.kr/
대한투석협회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세브란스병원, 영양정보
고려대학교구로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신장기능검사, http://guro.kumc.or.kr/
인제대학교 부산 백병원 질병정보
서울 아산병원 건강정보
조경숙 외(2016). 제 6판 성인간호학(하) :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NANDA 간호진단
만성 신부전 [chronic renal failur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42&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아산병원 질병백과 [ 만성 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