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패혈증은 중환자 사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질환 중 하나이다. 최근 꾸준히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높은 의료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패혈증은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거나 효과적인 치료를 하지 못할 경우 쇼크, 다장기 부전 등을 유발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패혈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적절한 간호과정을 파악하여 환자를 돌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패혈증 환자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패혈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간호 중재를 제시하고자 한다.
1.2. 자료 및 방법
본 연구는 00대학교병원 EICU에서 59세 남성 환자인 임00 환자분을 대상으로 하였다. 2023년 7월 17일부터 7월 24일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네이버와 성인간호학 교재를 활용하여 패혈증에 대한 정의, 원인, 증상, 치료법, 간호 등을 문헌고찰하였다. 간호과정의 간호사정은 EMR의 간호정보조사지, 간호기록, 대상자의 호소, 인수인계를 통해 일반적 자료와 환자의 전반적 상태를 파악하였고, 진단적 검사와 약물요법은 EMR과 성인간호학 임상교육 실습지침서를 참고하였다. 간호진단과 간호진단 적용은 NANDA-I 간호진단 목록을 활용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1.3. 대상자 요약
박00은 요양병원에 계시던 분으로 2022.05.13부터 복통, 설사, 발열을 호소하여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다. 77세 여성으로 2남 3녀의 가족을 둔 주부이며, 고등학교 졸업의 학력을 가지고 있다. 2년 전 뇌출혈 수술을 받았으며 1년 전부터 치매를 앓고 있었다. 평소 운동을 하지 않고 휴식을 취하는 편이었다.
2. 문헌고찰
2.1. 정의
패혈증은 미생물에 감염되어 전신에 심각한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상태이다. 체온이 38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발열 증상 혹은 36도 이하로 내려가는 저체온증, 호흡수가 분당 24회 이상으로 증가(빈호흡), 분당 90회 이상의 심박수(빈맥), 혈액 검사상 백혈구 수의 증가 혹은 현저한 감소(WBC count >12,000 or <4,000)를 특징으로 한다.
2.2. 원인 및 병태생리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 패혈증의 원인이 되며, 신체의 모든 장기가 감염 부위가 될 수 있다. 폐렴, 신우신염, 뇌막염, 봉와직염, 감염성 심내막염, 복막염, 욕창, 담낭염, 담도염 등이 패혈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감염증이 발생한 경우, 원인 미생물이 혈액 내로 침범하여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미생물이 혈액 내로 침투하지 않더라도 신체 일부의 염증 반응 및 염증 물질의 생성에 의해서 전신적인 패혈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패혈증은 감염 원인균과 숙주의 면역, 염증, 그리고 응고계통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생하며, 숙주의 반응 정도와 감염원인균의 특성 모두 패혈증의 예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패혈증에서 관찰되는 장기부전은 숙주의 감염 원인균에 반응이 부적절한 경우에 발생하며, 반대로 숙주의 감염 원인균에 대한 반응이 지나치게 증폭된다면 숙주 자체의 장기손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
2.3. 임상 양상
초기 증상으로는 호흡 수가 빨라지고, 지남력(시간, 장소, 사람에 대한 인지력)의 상실이나 정신 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