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농양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농양 사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본론
2.1. 간농양의 정의
2.2. 간농양의 병태생리
2.3. 간농양의 임상증상 및 징후
2.4. 간농양의 진단적 검사
2.5. 간농양의 치료
2.5.1. 항생제 치료
2.5.2. 배액 치료
2.5.3. 수술적 치료
2.6. 간농양의 합병증
3. 간호과정
3.1. 대상자 사정
3.1.1. 기초자료 수집
3.1.2. 진단적 검사
3.1.3. Vital sign 및 Intake/Output, 배변활동
3.1.4. 투약
3.2. 간호과정
3.2.1. 간호진단 #1
3.2.2. 간호진단 #2
3.2.3. 간호진단 #3
4. 결론
4.1. 실습소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농양 사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간농양은 비교적 드물지만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다. 세균이나 원충 등의 미생물 침입으로 간 조직이 파괴되어 형성된 공동에 감염 미생물, 간세포, 조직, 백혈구 등이 채워진 것을 간농양이라고 한다. 간농양은 발생 원인에 따라 화농성 간농양과 아메바성 간농양으로 분류되며, 드물지만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므로 이에 대한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간농양 환자의 발병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간호 등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간농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농양 환자의 예후 향상과 합병증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본론
2.1. 간농양의 정의
간농양은 간에 세균이나 아메바가 증식하여 농양이 생기는 것이다.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있거나, 정상적인 인체 해부학적 구조의 변화로 세균이 방어를 뚫고 간에서 감염을 일으켜 정상 간세포와 간조직을 파괴시킨다. 그 자리에 고름이 생기면 간농양이 형성된다. 세균에 의한 화농성 간농양과 아메바에 의한 아메바성 간농양의 증상은 비슷하지만, 진단과 치료에는 큰 차이가 있으며, 아메바성 간농양의 경우 위생이 불량한 저개발국에서 주로 발생하여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률이 매우 낮다. 따라서 대부분의 간농양은 화농성 간농양으로 진단된다.
2.2. 간농양의 병태생리
간농양은 감염을 일으키는 원인 미생물이 세균이냐 아메바라는 기생충이냐에 따라 구분된다. 화농성 간농양은 세균에 의해 발생하며, 아메바성 간농양은 아메바에 의해 발생한다. 대부분의 간농양은 화농성 간농양으로, 이는 간에 들어온 세균을 면역 세포들이 초기에 제거하는 데 실패한 경우에 발생한다. 면역 기능이 저하된 경우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다.
현재 화농성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은 간에서 생산된 담즙이 배설되는 경로인 담관을 세균이 거꾸로 타고 올라와 침범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담석증, 간내 결석증, 담도 악성 종양 등 담도계 질환이 발생하거나 간이식 수술 등 이 부위 구조가 변화하는 경우, 정상적으로 세균의 침입을 막던 구조가 손상되어 세균이 침범하고 화농성 간농양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당뇨, 만성 콩팥 병, 간경변 등의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 세균의 침입을 막지 못하고 화농성 간농양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남자에게 더 호발한다.
아메바성 간농양은 이질 아메바라는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며, 이질 아메바에 이미 감염된 환자의 대변으로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섭취하면 감염된다. 이 기생충이 장에서 혈액의 흐름을 따라 간까지 침범하여 감염을 일으키고 고름집을 형성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과거에 아메바성 이질과 아메바성 간농양이 발생했으나 현재는 거의 없으며, 개발도상국을 방문했거나 살다 온 사람들에게 주로 발생한다.
2.3. 간농양의 임상증상 및 징후
간농양은 감염을 일으키는 원인 미생물이 세균이냐, '아메바'라는 기생충이냐에 따라 증상과 징후가 다르다. 화농성 간농양은 발열이 가장 흔한 증상으로 환자의 80%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간이라는 비교적 큰 장기의 안쪽 깊숙한 곳에 고름집이 있기 때문에 피로, 식욕 감소, 전신 근육통과 함께 체중 감소 등 막연한 증상만 발생하고, 정작 간에서 발생한 문제라는 것을 추정할만한 증상은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이적인 증상으로는 복통, 우상복부 압통, 황달 등이 있으며, 복통은 55%, 우상복부 압통도 55%, 황달은 10~25%만이 발생한다. 이처럼 비특이적 증상만 발생하기 때문에 발열, 오한 그리고 전신 근육통 등의 증상만으로 여러 가지 검사를 하여도 발열의 원인을 찾지 못하다가 간농양으로 진단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비해 아메바성 간농양은 화농성 간농양보다는 증상이 약간 덜하며, 발열이 80%, 우상복부 통증도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상권 제 6판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황옥남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 하권 제 6판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황옥남 외 [현문사]
기본간호학 1권 수정판 양선희, 원종순 외 8명 [현문사]
기본간호학 2권 수정판 양선희, 원종순 외 8명 [현문사]
최신임상간호메뉴얼 ,병원간호사회 편찬 [현문사]
건강사정 왕명자 박미영 외 4명 [현문사]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제3판, 차영남 외 13명 [현문사], 2013
네이버 건강백과 terms.naver.com/entry 의약사전
킴스온라인 www.kimsonline.co.kr 의약품 정보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질병정보 www.snubh.org/service/disease/list.do
국민건강정보포털 health.mw.go.kr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Ⅰ,Ⅱ, 현문사, 2018.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9.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약학정보원, www.health.kr.
Herdman 저, 간호진단 2018-2020 개정판, 학지사메디컬,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