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피아제와비고츠키의이론을정의하고두학자를비교설명후학습자가 생각하는혼잣말에대해어떤의견을가지고있는지논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이론
2.1. 피아제의 인지우선론
2.2. 비고츠키의 언어우선론
2.3. 이론 비교
2.4. 혼잣말에 대한 해석
3. 교육현장에서의 적용
3.1. 피아제 이론에 따른 지도방안
3.2. 비고츠키 이론에 따른 지도방안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영유아기는 살아가면서 배워야 하는 기술이나 예의범절 등 모든 발달영역의 기초가 되는 부분을 배우는 시기이다. 그래서 이 시기에는 최대한 긍정적 자극과 경험을 제공하려고 노력한다. 특히, 이 시기에는 살면서 가장 많은 언어를 습득하게 되고, 가장 빨리 습득할 수 있는 시기이므로 부모님이 자기 전 책을 읽어주거나 동요를 들려주는 등 많은 언어 자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언어를 습득하고 언어영역과 관련한 발달 부분을 두고 근본적인 의견은 같지만, 세부적 의견이 다른 두 학자가 존재한다. 바로 피아제와 비고츠키인데, 이 두 학자가 어떤 부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지 어떤 주장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이론
2.1. 피아제의 인지우선론
피아제는 상호작용 주의이론 중 인지를 강조하며 감각운동기와 전조작기에 급속하게 언어발달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아이들은 감각적인 경험과 신체적 활동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게 되며, 초기 단어의 경우 영유아와 친숙한 사람과 사물의 이름일 가능성이 크다. 피아제는 영유아가 언어발달을 하기 위해서는 인지적 요소가 필수적으로 있어야 한다고 보지만, 언어발달이 인지발달에 필수적이지는 않다고 주장한다. 즉, 언어가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과소평가하였다.
피아제의 경우 언어발달이 인지발달에 의존한다고 보는 견해를 가졌으며 언어가 환경에 의한 결과라거나 생득적인 특성이기보다는 인지적 성숙의 결과이자 획득이라고 보는 견해이다. 그러므로 피아제는 인지의 발달은 언어발달의 원동력이 되며 인지발달 단계를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고 본다.
피아제는 아이가 관찰한 그 즉시 모방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시간이 지나고 나서 자발적으로 재연하게 되는 자연모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사건뿐만 아니라 과거 경험했던 일들에 관해서도 이야기할 수 있는 인지능력이 기...
참고 자료
언어지도, 강의 교안.
성미영 외, 언어지도, 학지사, 2022.
이병숙희(2014)『개념획득과 언어발달의 관련 – 피아제와 비고츠키 심리이론의 교육학적 해석』, 울산대학교
이예운(2019)『고등정신기능 발달에서 언어와 예술의 역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