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복지교사면접질문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아동의 발달평가
2.1. 아동발달 평가 방법
2.1.1. 평정척도법
2.1.2. 질문지법
2.1.3. 면접법
2.1.4. 검사도구
2.2. 평가방법의 장단점 및 유의사항
3. 아동발달 평가 연구 사례
3.1. 질문지법 연구
3.2. 관찰법 연구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은 전 생애에 걸쳐 인지, 정의, 신체 측면의 조화를 이루며 점진적으로 발달, 성장해 나간다. 발달 과정의 구체적인 모습은 개인적인 차이가 있지만 아동은 다양한 발달영역에서 끊임없이 변화를 겪는다. 특히 아동기는 발달의 결정적 시기로 가장 급격하며 역동적인 발달이 이루어진다. 이에 이 시기의 아동의 행동 및 발달에 대한 이해와 평가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편, 평가라는 것은 부정적인 개념으로 이해되기도 하는데, 이는 그동안 사회적으로 행해오던 평가가 그 결과 따라 보다 적합한 교육 환경과 도움을 제공해 주기보다 개별 아동의 발달과 성취나 이를 위해 행해진 교사의 능력 등을 가늠하는 잣대로 여겨져 왔기 때문이다. 평가의 진정한 목적은 아동의 발달에 대해 정확하게 알기 위함이며 이는 아동의 적절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개입해야 하는 것,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아동의 발달을 평가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적절한 평가방법에 대하여 논해보고자 한다.
2. 아동의 발달평가
2.1. 아동발달 평가 방법
2.1.1. 평정척도법
평정척도법은 관찰된 행동에 대한 질적인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설정된 각 항목에 대한 점수나 가치를 바탕으로 아동의 발달상황에 대해 평정한다. 아동의 발달상황을 측정하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기도 하며, 아동을 관찰하면서 얻은 자료의 수량화를 위해 고안되었다. 평정척도법은 아동의 행동을 일정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선정 준거에 따라서 아동의 행동 특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관찰자가 관찰하려는 행동영역에 대하여 사전에 알고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때문에 숙달된 관찰자 또는 교사가 사용해야 하며, 행동의 관찰에 적절한 장면 선택이 가능해야 하고, 관찰을 기록 및 해석하는 것에 있어서 숙달된 기술이 필요하다.
2.1.2. 질문지법
질문지법은 질문지에 제시된 문항에 대해 응답자가 응답을 기록하게 하는 것이다. ...
참고 자료
김민정(2017). 유아 행동발달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원미(200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발달평가 현황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고명수 외 7인 공저, 「사회복지개론」, 동문사 : 서울, 2013
박정원 저,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영유아발달평가에 대한 인식 및 평가방법 연 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서울, 2001
https://www.ibabynews.com,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아이들은? “언어와 신체발달 지연됐다.”, 베이비뉴스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8/19/2013081902593.html,
아이발달검사 받으러 가기 전 꼭 확인하세요, 조선일보
서소정 외 1명, 2021, COVID-19 상황에서 만 2-3세 영유아가 시도하는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