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교육 실습 교안: 피동형 아지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통사적 피동표현 '-아지다'
1.1. 통사적 피동표현의 개념
1.2. '-아지다'의 결합 방법
1.3. 형용사와 '-아지다'의 활용
1.4. 통사적 피동표현 연습
1.5. 통사적 피동표현 활용
2. 통사적 피동표현 '-어지다'
2.1. '-어지다'에 의한 통사적 피동표현
2.2. 능동표현과 피동표현의 관계
2.3. 통사적 피동표현 규칙 확인
2.4. 통사적 피동표현 활동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통사적 피동표현 '-아지다'
1.1. 통사적 피동표현의 개념
통사적 피동표현의 개념이란 대부분 형용사에 붙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떤 상태가 되어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표현방법이다. 이는 주어의 상태나 성질이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주어의 변화 상태를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하는 문법적 표현이다. 구체적으로 가정 형편이 좋아지고 있음, 한국어 실력이 좋아지고 있음, 화장품 가격이 점점 비싸지고 있음, 연말이 다가오면서 점점 바빠지고 있음 등의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통사적 피동표현은 주어가 어떤 상태에 이르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때 '-아지다'가 주어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통사적 피동표현 어미로 사용된다. 이러한 통사적 피동표현은 형용사와 결합할 때 단순히 상태의 변화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동사적 의미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통사적 피동표현은 주어의 변화 상태를 나타내는 문법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1.2. '-아지다'의 결합 방법
통사적 피동표현의 결합 방법을 보면, 형용사 중에서 의미가 있는 어간과 '-아지다'가 결합을 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결합 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좋다'의 경우, 어간인 '좋-'에 '-아지다'를 결합하면 '좋아지다'가 된다. '비싸다'의 경우에는 어간인 '비싸-'에 '-어지다'를 결합하여 '비싸아지다'가 된다. 이때 '싸아-'는 자음 축약에 의해 '싸-'가 합쳐져서 '비싸지다'가 된다. 또한 '바쁘다'의 경우에는 어간 '바쁘-'에 '-어지다'를 결합하여 '바쁘아지다'가 되는데, '쁘아'에서 'ㅂ'이 탈락하여 '바빠지다'가 된다.
이와 같이 형용사의 어간에 '-아지다' 또는 '-어지다'를 결합하여 통사적 피동표현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형용사가 동사의 의미를 가지게 되어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게 된다.""
1.3. 형용사와 '-아지다'의 활용
형용사와 '-아지다'의 활용은 통사적 피동표현의 핵심적인 부분이다. 형용사는 동사와 달리 상태를 나타내는데, '-아지다'와 결합하면 상태의 변화 과정을 표현할 수 있다.
형용사는 보통 어간과 어미로 구성되며, 여기에 '-아지다'가 결합하여 통사적 피동표현을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좋다'의 어간 '좋-'에 '-아지다'가 결합하면 '좋아지다'가 된다. 또 '비싸다'의 경우 어간 '비싸-'에 '-아지다'가 결합하여 '비싸지다'로 변화한다. 이 때 자음 축약에 의해 '비싸아지다'가 '비싸지다'로 바뀌게 된다. 마찬가지로 '바쁘다'의 어간 '바쁘-'에 '-아지다'가 결합하면 '바쁘아지다'가 되지만, 'ㅂ'의 탈락으로 '바빠지다'로 변화한다.
이처럼 형용사에 '-아지다'가 결합하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상태가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통사적 피동표현이 만들어...
참고 자료
이수진(20088), 한국 대학생에게 나타나는 수동태 오류 분석 : 능격 동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까녹완 판짜뢴(2013), 한·태 속담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 중급 태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난매매(2011),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 표현 교수 모형,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삼삼(2012), 한국어 피동 표현의 교수 방안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배(2012),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 표현의 교육 방안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나영(2003), 일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성 표현의 교수 모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수진(20088), 한국 대학생에게 나타나는 수동태 오류 분석 : 능격 동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까녹완 판짜뢴(2013), 한·태 속담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 중급 태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난매매(2011),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 표현 교수 모형,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삼삼(2012), 한국어 피동 표현의 교수 방안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배(2012),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 표현의 교육 방안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나영(2003), 일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성 표현의 교수 모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