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유아기 언어발달 지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유아의 언어발달과 지도 방법
1.1. 영유아기 언어발달
1.1.1. 영아기 언어발달
1.1.2. 유아기 언어발달
1.2. 영유아기 언어발달 지도 방법
1.2.1. 영아기 언어발달 지도
1.2.2. 유아기 언어발달 지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유아의 언어발달과 지도 방법
1.1. 영유아기 언어발달
1.1.1. 영아기 언어발달
영아는 먼저 2~3개월에 옹알이를 시작한다. 이는 언어와 유사한 생애 최초의 말소리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1세가 되면 영아는 한 단어의 문장을 사용하는데, 이는 자신의 생각과 욕구를 표현하는 수단이고, 이때 얼굴 표정이나 몸짓을 함께 사용한다. 그리고 24개월이 되면, 뇌의 발달과 더불어 문장을 만들기 위해 2가지 이상의 단어를 조합할 수 있는데, 두 단어 사이에 강세 위치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서 자신의 원하는 것을 강조할 수 있다.
영아기는 소리를 내면서 음소의 발달이 시작되고, 말소리를 지각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단어의 결합법칙과 단어의 불규칙성을 발견한다. Kuhl(1993)은 출생 후에 4개월부터 소리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고 주장한다. 즉, 영아들은 어떠한 음소의 소리를 낼 수 있고, 어떤 언어든지 말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진 존재이다. 그러나 1년 후에는 대체로 영아들이 모국어만 듣기 때문에 모국어에 있는 소리들만 말하게 된다.
그리고 형태론적 발달로 근거해 보면 영아는 특별한 의미를 전달하는 소리의 기본 단위인 형태소를 구성하는 능력이 생기기 시작하는데, 이는 영아가 음소 발성 이후에 형태소 발성이 가능해 진다. 의미가 있는 구, 절, 문...
참고 자료
배소영. 2006. 한국어 발달특성과 학령전기 문법형태소. 한국어학. pp31-45
장유경, 이근영. 2006. 영아의 기질과 초기 어휘 습득의 관계. 아동학회지27. pp263-279
성미영, 영유아 언어지도, 학지사, 2015.
강순희 외, 영유아발달, 창지사, 2017.
이기숙 외, 유아발달, 양서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