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하임리히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심정지와 응급처치
1.1. 심정지
1.1.1. 정의
1.1.2. 종류
1.2. 생존 사슬
1.2.1. 심장정지 인지 및 구조 요청
1.2.2. 목격자 심폐소생술
1.2.3. 제세동
1.2.4. 전문소생술
1.2.5. 소생 후 치료
2. 심폐소생술
2.1. 심폐소생술(CPR)
2.2. 영아 심폐소생술 단계
2.3. 자동 심장 충격기(AED) 사용법
3. 기도폐쇄와 하임리히법
3.1.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
3.2. 하임리히법
3.3. 영아 하임리히법 단계
4. 결론
4.1. 응급처치의 중요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심정지와 응급처치
1.1. 심정지
1.1.1. 정의
심정지(cardiac arrest)는 심장의 기계적 활동이 중단된 것으로 순환 징후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심장이 혈액과 산소를 펌핑하여 뇌와 기타 장기 및 조직으로 산소를 전달하는 것을 멈춘 상태이다. 심정지는 심장 자체의 문제나 출혈, 호흡 정지 등이 발생할 경우에 생길 수 있는 현상이다.
1.1.2. 종류
심정지에는 두 가지 주요한 종류가 있다"
첫째, 심장이 1분당 40회 미만으로 뛰거나 정지하는 경우이다. 이는 심장 자체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심정지 상태를 말한다.
둘째, 심실세동과 심실빈맥으로 심실에서 몸 전체로 피를 펌프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이는 임상적 심정지라고 불리며, 자동 심장 충격기(AED)를 사용하여 심폐소생술을 해야 한다. 자동 심장 충격기를 통해 환자의 심장이 다시 정상적인 전기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1.2. 생존 사슬
1.2.1. 심장정지 인지 및 구조 요청
심장정지 상황에서 목격자의 신속한 대응은 환자의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 심장정지가 발생하면 뇌에 산소 공급이 중단되므로,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지 않으면 뇌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심장정지 상황을 신속히 인지하고 구조를 요청하는 것이 생존 사슬의 첫 단계로, 이 단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음 단계들도 제대로 이행되기 어렵다.
목격자는 환자의 반응이 없고 호흡이 없는 것을 확인하면 즉시 주변 사람들에게 신고와 자동심장충격기(AED) 요청을 부탁해야 한다. 이때 주변에 아무도 없다면 먼저 직접 119에 신고하고 1분 후에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 한다. 심장정지 상황을 신속히 인지하고 구조 요청을 하지 않으면 소중한 시간을 허비하게 되어 환자의 생존률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심장정지 상황에서 신속한 구조 요청은 환자의 생존을 위해 매우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1.2.2. 목격자 심폐소생술
목격자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2배 이상 높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목격자가 구조 요청 후 바로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면 환자의 생존 가능성이 크게 증가한다.
심정지가 발생하면 뇌는 4분 이내에 산소 공급이 중단되어 영구적인 손상을 입게 된다. 따라서 목격자가 신속하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여 뇌로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심폐소생술은 심장과 호흡 기능을 인공적으로 유지시켜 뇌로 산소를 공급하는 응급처치 방법이다.
목격자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때는 먼저 환자의 반응을 확인하고, 119에 신고하여 구조대가 도착할 수 있도록 요청한다. 이후 환자의 기도를 열어주고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그리고 가슴 압박을 분당 100회의 속도로 시행한다. 이때 가슴 압박은 환자의 가슴 아래 1/3~1/2 깊이로 실시해야 한다.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 목격자들은 두려워할 수 있지만,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의해 선의의 응급처치자는 면책되므로 망설이지 말고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인공호흡에 거부감이 있다면 가슴 압박 소생술(hands-only CPR)을 실시할 수 있다. 가슴 압박 소생술은 인공호흡을 하지 않고 가슴 압박만 실시하는 방법으로, 초기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에 큰 차이가 없다.
이처럼 목격자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따라서 일반 시민들도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고 실제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응급처치를 실시할 수 있어야 한다.
1.2.3. 제세동
제세동은 심정지 상황에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정상화시키는 중요한 응급처치 단계이다.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과 같은 심장 리듬 이상이 발생한 경우, 신속한 제세동 처치를 통해 심장의 정상적인 리듬을 회복시킬 수 있다.
제세동은 심정지 발생 초기에 가장 중요한 치료 방법 중 하나로, 심정지 발생 후 1분 지연될 때마다 제세동 성공률이 7-10%씩 감소한다. 따라서 심정지가 발생한 현장에서 신속하게 자동 심장...
참고 자료
환자의 안전과 간호, 의학서원, 박혜자 외(2020)
응급처치 강사과정 지침서
서울대학교병원-N의학정보-기도폐쇄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34
성인 하임리히법
https://youtu.be/PxP2VArWh94
행정안전부, 국민 안전
https://www.safetv.go.kr/GenCMS/gencms/cmsMng.do?sub_num=244&BBS_STATE=view&BOARD_IDX=255&gcode=CG0000016
의학신문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43808
뉴스투데이
https://www.news2day.co.kr/article/20211217500267
심정지 환자에게 필요한 '이것'? 해양응급처치 바로알기 / 심장충격기 응급처치. (2022). https://blog.naver.com/kcgnmpa/222791063329.
자동심장충격기, 어디서 찾고 어떻게 사용할까. (2022). https://www.korea.kr/multi/visualNewsView.do?newsId=148906374#visualNews.
심정지 응급처치 바로알기. (2022). https://www.korea.kr/multi/visualNewsView.do?newsId=148901842.
생명을 살리는 심폐 소생술. http://down.edunet4u.net/KEDNCM/A000800002_20180227/7AFE8A0D-DD06-9CD3-FC9B-8BCC9FF2F8DC.pdf.
황성오 차경철 정우진 노영일 김태윤 외. (2021). 제 2장 심장정지 생존을 위한 환경과 생존사슬. 대한응급의학회지, 32(3), pp. 13. https://www.jksem.org/upload/pdf/jksem-32-3-10.pdf
[청주 오창 충북근로자건강센터] 2020년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질병관리청·대한심폐소생협회,심장정지 생존사슬, 코로나19 기본소생술 . (2021). https://blog.naver.com/chungbukwhc/222592139518.
김대희, 「심장마비, 인공호흡 말고 가슴 압박만 하세요!」, 프레시안, 2016.04.28.,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36001
심폐소생술(CPR) 자주 하는 질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ccvdInfo/cvcdInfo/cprInfoMain.do.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 https://119.seoul.go.kr/asims/firstaid/contents.do?pageNo=0201.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 https://www.ulsannamgu.go.kr/fieldInfo/firstAidTips/firstAidTips01.jsp.
홍초롱. "영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 실태 및 안전사고에 따른 대처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국내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인천
성인&소아 기도폐쇄, https://www.e-gen.or.kr/egen/first_aid_basics.do?contentsno=19
영아 기도폐쇄, https://www.e-gen.or.kr/egen/first_aid_basics.do?contentsno=20
이석희, 「[카드뉴스]음식을 먹다 숨을 쉬지 못한다면?」, 뉴스웨이, 2019.01.13., https://www.newsway.co.kr/news/view?ud=*************274691
심정지, 골든타임을 잡아라,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17132&topic=L&pp=20&datecount=&recommend=&pg=
How to Perform CPR on a Child or Infant. https://infantcpr.com/blog/posts/how-to-perform-cpr-on-a-child-or-infant/.
전국보육교사교육원대학협의회, 「영유아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 양서원, 2005, 95면, 103-105면, 110-111면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처치 가이드, https://www.snuh.org/, “영유아 하임리히법”(2016.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