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방세동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심방세동 사례연구 선정 동기 및 필요성
1.2. 문헌고찰
2. 본론
2.1. 대상자 건강사정
2.1.1. 일반적 정보
2.1.2. 병력
2.1.3. 가족력
2.1.4. 신체 사정
2.2. 간호진단
2.3. 간호과정
2.3.1. 보행 시 호흡곤란과 관련된 활동지속성 장애
2.3.2.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2.3.3. 항응고제 투약과 관련된 출혈위험성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심방세동 사례연구 선정 동기 및 필요성
심장은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기관이다. 심방세동은 심방이 불규칙하고 빠르게 수축하여 심방내의 혈액을 완전히 짜주지 못하므로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키는 질환이다.
특히 심방 내 혈전이 생겨 이로 인한 뇌졸중 등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따라서 심방세동에 대해 잘 알아보고 환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심방세동 사례연구를 선정하게 되었다.
심방세동은 정상적인 심장의 기전과는 달리 심방이 불규칙하고 빠르게 수축하여 심방내의 혈액을 완전히 짜주지 못하므로 혈액이 응고되어 혈전을 형성하기도 하고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심방세동의 특성과 그로 인한 합병증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간호중재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심방세동 환자에게서 가장 문제가 될 수 있는 합병증이 뇌졸중이라는 점에서, 심방세동 환자의 건강관리와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심방세동 사례연구를 통해 심방세동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등을 자세히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문헌고찰에 따르면,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지속성 부정맥으로 심방이 규칙적으로 뛰지 않고 심방의 여러 부위가 무질서하게 뛰면서 분당 400~600회의 매우 빠른 파형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불규칙한 맥박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심방세동은 일반인의 약 0.4~0.9%, 60세 이상에서는 2~4%, 70세 이상에서는 5%, 80세 이상에서는 약 12%에서 발견되는 비교적 흔한 부정맥이며, 나이가 들수록 발생율이 증가한다고 한다"" 또한 고혈압, 판막 질환, 심부전 및 관상동맥 질환에서도 흔히 동반되며, 스트레스, 음주, 만성 폐질환, 갑상선 기능 항진증, 카페인, 감염 및 각종 대사 장애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심장 수술 후 초기에도 비교적 흔히 관찰되어 많게는 35~50%까지 관찰되는데, 대개 수술 후의 교감신경 항진과 염증 소견이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고 한다"" 특별한 심장 또는 폐 질환 없이 60세 이전에 심방세동이 발생하는 경우를 고립성 심방세동이라고 하며, 과도한 음주 후 다음날 발작성 심방세동이 발생하는 경우를 휴일 심장 증후군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문헌고찰에 따르면 심방세동의 증상으로 심방이 정상적으로 뛰지 못하고 미세하게 불규칙적으로 뛰며, 심실 또한...
참고 자료
김현주 외(2010). 간호진단과 비판적 사고. 수문사
조경숙 외(2014). 성인간호학(상), (하). 현문사
양선희 외(2011). 기본간호학, 현문사
KIMS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
NAVER 건강 ( http://health.naver.com/ )
윤은자, 김숙영, 소향숙 외 공저, 「9판개정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783~806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심방세동 및 심방조동
삼성서울병원, 건강정보, 건강이야기, “부정맥의 대표적질환 심방세동의 증상 및 진단, 치료, 와파린 복용
임상약리학. 범진필. 청구문화사.
이항련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경기도 파주
강병철. 통합적 기본간호학. 한우리. 서울
최순희. 간호과정. 정문각. 서울
송경애, 장혜숙, 고일선외. 진단검사와 간호. 수문사
고자경외. 핵심 성인간호학. 퍼시픽. 서울
전시자, 김강미자, 이미화외.성인 간호하(상-2). 현문사
김진학, 김혜순, 양광희외. 성인간호 실습지침서.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