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항응고제 출혈위험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진단: 항응고제 투여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1.1. 병태생리와 위험요인
1.2. 증상 및 징후
1.3. 진단 검사
1.4. 간호 중재
1.4.1. 예방적 중재
1.4.2. 치료적 중재
1.5. 환자 교육
2. 폐 혈전색전증(Pulmonary Thromboembolism, PTE)
2.1. 질병 개요
2.2. 위험요인
2.3. 진단 검사
2.4. 간호중재
3. 뇌졸중(Cerebrovascular accident)
3.1. 병태생리
3.2. 원인 및 증상
3.3. 진단 및 치료
3.4. 간호중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진단: 항응고제 투여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1.1. 병태생리와 위험요인
항응고제 투여와 관련된 출혈위험성의 병태생리와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항응고제 투여 시 혈액 속 혈소판의 응집이 억제되어 혈전 생성이 감소하게 된다. 하지만 이로 인해 혈액이 쉽게 응고되지 않아 출혈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즉, 항응고제는 혈액응고 인자들의 작용을 억제하여 출혈에 대한 저항성을 낮추는 약물이다.""
항응고제 투여와 관련된 주요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 고령: 나이가 많을수록 약물 대사가 저하되고 출혈 위험이 증가한다.""
- 간기능 저하: 간에서 혈액응고 인자가 합성되므로 간기능 저하 시 출혈 위험이 높아진다.""
- 신기능 저하: 신장에서 약물이 배설되므로 신기능 저하 시 약물 제거가 지연되어 출혈 위험이 증가한다.""
- 저체중: 체중이 적을수록 약물 농도가 높아져 출혈 위험이 증가한다.""
- 병용약물: 아세트아미노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항혈소판제 등 출혈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약물과의 병용 투여 시 주의가 필요하다.""
- 유전적 요인: 선천적인 응고 장애나 항응고 단백질 결핍이 있는 경우 출혈 위험이 높다.""
1.2. 증상 및 징후
"항응고제 투여와 관련된 출혈의 주요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상출혈(petechiae)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피부나 점막에 직경 2-3mm의 작은 출혈반점이 산재하여 나타나는 증상이다. 둘째, 타박상(bruise)이 쉽게 생길 수 있다. 외상 없이도 멍이 잘 드는 것이 특징이다. 셋째, 피로감과 전신 허약감이 나타날 수 있다. 넷째, 혈뇨(hematuria)가 관찰될 수 있다. 다섯째, 혈변(melena)이 나타날 수 있다. 여섯째, 코피(epistaxis)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관절이나 근육에 출혈이 생길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두개내출혈이나 소화기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출혈의 증상과 징후가 관찰되면 즉시 의료진에게 보고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1.3. 진단 검사
진단 검사는 항응고제 투여와 관련된 출혈위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먼저 대상자의 심각한 출혈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활력징후(혈압, 맥박, 호흡, 체온)와 혈액검사를 확인한다"" 혈압의 저하, 맥박 증가, 호흡 증가는 출혈로 인한 혈관 내 혈액량 감소의 징후일 수 있다"" 또한 RBC, Hb, Hct의 감소, aPTT, PT의 증가 등은 출혈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다음으로 프로트롬빈 시간/국제정상화비율(PT/INR),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aPTT)를 통해 항응고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PT/INR은 와파린의 항혈액응고 역할을 측정하고 출혈 질환을 진단하며, aPTT는 출혈질환과 혈전질환의 가능성을 평가하여 항응고제 치료 중인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D-dimer 검사를 통해 혈전 분해산물을 확인하여 혈전증 발생 가능성을 진단한다"" D-dimer가 높게 측정되면 혈전이 생성되었거나 용해되었음을 의미하므로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
이 외에도 필요에 따라 영상검사인 폐 혈관 조영술, 컴퓨터 단층촬영 등을 통해 폐색전증을 진단하고 혈전 위치와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1.4. 간호 중재
1.4.1. 예방적 중재
예방적 중재에는 대상자의 출혈 위험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포함된다.""
첫째,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활력징후 중에서도 특히 혈압은 항응고제 투여에 따른 출혈 위험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이므로 2-4시간마다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기록한다.""또한 맥박, 호흡, 체온을 확인하여 감염 등 다른 합병증이 동반되지 않는지도 사정해야 한다.""
둘째, 침습적 처치와 채혈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주사나 채혈 시 적절한 시간 동안 압박하여 지혈하고, 불가피하게 시행해야 할 경우에는 최소한의 바...
참고 자료
양선희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고자경 외 공저(2017). 성인간호학 1, 2. 퍼시픽북스
박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박금주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Herdman 외 공저(2018).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학지사메디컬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정형기. 2003. 출혈위험이 있는 혈액투석환자에서 국소항응고제의 출혈에 미치는 영향 및 항응고 효과에 대한 임상 시험에 대한 임상통계연구. 산업기술연구소 논문집, 13(0): 155-161
이재현,이경석,김달식,이혜수,최삼임,and 조용곤. "경구용 항응고제 복용환자의 자가 프로트롬빈시간 측정을 위한 CoaguChek?XS의 평가."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27.3 (2007): 177-181.
권희정. (2004). 항응고제와 검사지연이 D-Dimer 검사결과에 미치는 영향.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24(1), 7-10.
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 성미혜 외 9, 정문각, 2020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2018), 학지사메디컬, 고일선 송라윤 공역
성인간호학2(2017), 수문사, 김금순 외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1997) ,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