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이 미국 문화 속에서 자신의 민족문화를 인식하는 방식과 수용의 과정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아메리카 원주민인 Tayo와 한국계 미국인인 Henry는 미국이라는 다문화(multi-c ... .(You Korean man. So so different.)”(NS, 74)라고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재확인시켜주면서도, 백인인 Lelia와의 결혼을 자랑스러워하며 주위 사람 ... 는 아버지의 일상생활을 굴욕적인 수치심을 가지고 조소하거나 방관하지 않았던가(my father, whose daily life I so often ridiculed and
고,봄비로 활기 없는 뿌리를 일깨운다. (이재호 역, 이하동일)April is the cruelest month, breedingLilacs out ot the dead land ... , mixingMemory and desire, stirringDull roots with spring rain.1차 대전 후 서구의 황무지의 인간들에게 4월은 봄이 와도 새로운 삶 ... 의 출현으로 나타난다. 그리하여 타요는 거미에 관한 이야기를 기억해 낸다. 거미는 “비구름을 자신의 집에 숨기고 있는 저 못된 카트시나(Ka't'sina)산을 이기는 방법을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