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야 한다Ⅶ.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방법1. 수업과정의 분석 방법1) Hough & Duncan의 목표중심 분석2) Minnis & Shrable의 문답과정 분석3) Flanders ... 을 달성하기 위해서 어떤 점에 초점을 두고 실시하느냐에 따라 그 의미나 상태 및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즉 교사 자신이 수업 활동 자체를 연구하여 바람직한 수업모형을 탐색할 필요 ... 성에 입각하여 수업분석을 하였다면, 분석 준거와 교과간의 관계라든가 수업패턴의 탐색, 수업 모형의 효율적 적용, 교수 자료의 활용 효과 검증 등에 초점을 두게 될 것이고, 교사
의 교육상황 속에서 교사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가능한 한 개인차를고려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3. 호프와 던컨(J. B. Hough & J. K. Duncan)의 수업 ... 되는 외적 사상의 한집합이다. (R.M Gagne & Briggs)(3) 수업은 특정한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적 - 의도적 활동이다.(4) 수업은 교사가 가르치는 일뿐만 아니라 수업 ... 을 괄평가실시ㆍ결 과 검 토ㆍ결 과 활 용Ⅰ.계획단계ㆍ학습과제분석ㆍ수 업 계 획ㆍ실 천 계 획가. 한국교육개발원의 수업모형나. 한국교육개발원 수업모형의 각 단계에 대한 설명(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