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 면색을 의지해 병인을 알고 재차 호구삼관맥으로 열증과 한증을 진찰해 소리를 듣고 맥을 살피고 절진을 하면 표리와 허실증은 증상을 따라 참고해야 한다.【註】兒科一道, 自古爲 ... 형색에 기대 관찰하여 어디서 원인이 생겼는지 알수 있다.三關者, 手虎口處風、氣、命三關也, 當視脈紋形色, 以診其屬熱屬寒也。3관은 손 호구의 풍관, 기관, 명관의 3관으로 맥 무늬
가락으로 3부를 의지해 찾아내고 관맥을 기준으로 삼는다.七八歲移指少許。7,8세는 손가락을 조금 옮겨간다.九歲次第依三關部位尋取。9세는 차례대로 3관의 부위를 의지해 찾는다.十一、十二歲 ... 憑寸口之浮沈, 必乃橫亡於孩子, 須明虎口辨別三關消詳, 用藥始無差誤。*?亡[heng wang]?死*消詳 :아주 상세함만약 촌구의 부침맥만 근거하면 반드시 아이때 횡사하고 반드시 호구 ... 。아직 3세에 이르지 않으면 호구 식지를 보고 제 1관절은 풍관맥이라고 하니 초기 나타나면 쉽게 치료된다. 둘째 마디는 기관맥이라고 이름하며 보이면 병이 깊어 난치이다. 셋째 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