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 전시를 통해 두 부류의 사진과 함께 모더니즘사진이 공존하던 시대였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임응식 : 한국사진작가협회를 중심으로 생활주의 사진을 주창 이형록 , 한영수 ... 사진 전문 서적은 기술서에 치우쳐 있었음 이론서로는 김용훈의 『 사진의 예술 : 작가로 되는 길 』(1959) 이 유일4 사진전문서적 ( 이론서 , 기술서 ) 작품 조존 ( 曺尊 ... 년대 카메라당명동싸롱과 1950 년대 카메라당 1950 년대 사진계는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해방공간의 혼란과 한국전쟁으로 말미암아 모든 것이 파괴된 상태에서 다시 시작해야 했
라고 생각할 수 있다.2. 일상의 애환을 그린 작품. 한영수한영수작가는 1950~60년대에 많은 작품을 찍은 작가다. 한국을 배경으로 찍었고 1950년대의 전쟁 이후에 대해서 면밀 ... 을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2) 서울한강. 1959년 작품한영수작가의 서울 한강이란 작품은 앞선 분위기와는 사뭇 다르다. 전쟁 이후 6년이란 시간이 흐르게 되 ... 교과목명: 사진의이해 예술사진가, 광고사진가, 다큐멘터리사진가(보도사진가), 과학사진가, 취미사진가 중 2개 분야의 사진가를 각각 1명씩 고르고, 그의 작품에 관해 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