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우란의 신리학◎ 풍우란의 약력자는 芝生 1895년 하남 당하출생이다. 1915년 철학을 하겠다는 꿈에 북경대학 철학과에 입학하고 1919년 콜럼비아 대학 대학원에서 철학을 공부 ... 했다.스스로 말하기를 자신의 철학사상에서 시작은 실용주의에서 훗날 신실재론이 부각되었다고 하였다.◎ 철학사가로서의 풍우란1920년 그의 박사논문에 의거하여 다시 쓴 인생철학(人生 ...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중도는 자연과 인위를 조화할 것을 주장한 것으로 풍우란 자신은 중도에 기울어져 있었다. 인생철학의 의의는 풍우란으로 하여금 철학사에 흥미를 주
다. 혜제 4년(BC.191), 진나라 이래의 禁書를 폐하여 민간에서부터 유가 경전이 전수되더니, 문제 재위기에 조착을 『서경』박사로, 『시경』박사에는 신공과 한영을 임명하고 동시 ... 에 『논어』·『효경』·『이아』·『맹자』도 모두 박사를 설정하도록 하였다. 『맹자』를 다루는 학관이 이 때 설치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학관의 박사들은 ‘수효만 채우고 대기할 뿐 계발 ... 되고 중용된 자가 없었다’라는 『한서』「유림전」의 기록으로 볼 때, 유학 자체는 여전히 관학으로의 입지가 확고하지 못했음을 보여주지만, 공자의 유작들과 함께 맹자학파의 저서가 박사
?란 명칭이 생겼다는 것인데 잘못된 주장이다. 그 이유는 첫째, 한 文帝때 벌써 ?論語?박사가 있었다. 둘째, ?예기? ?坊記?에서 “삼년 동안 아버지의 도리를 바꾸지 아니하 ... 淳의 주에서는 다른 한편은 편명을 ?從政?이라 했었다고 하지만 모두 확증은 없다. 이 ?古論?을 전했던 사람에 대하여, 何晏은 “?古論?은 오직 박사였던 孔安國(B.C156?-B ... (B.C140-B.C87재위)때의 박사였다. 그는 ?論語?뿐만이 아니라 孔子의 옛집 벽 속에서 나온 ?고문상서???예기???효경?까지도 후세에 전하였다(?漢書? ?藝文志?). 그러나
를 설명하고 지지하는 정통 사상으로 정립되어 갔다.)성리학과 이기론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많이 이루어진 편이다. 저서, 석·박사 논문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 걸친 연구 성과를 보였 ... 풍우란도 주자의 기는 장재의 기에 비해 훨씬 더 추상적이다. )주자는 이를 형이상의 세계, 기를 형아하의 세계로 구분하여 보았다. 형이상·하는 역에서 도·기·로 말하였는데 이것을 인용
한 공자(孔子)의 학설에 더 유사했다. 이러한 견해는 새로운 것도 또 개인적인 것도 아니며, 중국 본토의 철학사가들 사이에서는 일반적인 견해이다. ?중국논리학사?를 쓴 호적(胡適)박사 ... 와 ?중국철학사?를 쓴 풍우란(馮友蘭)교수는 서구 사회가 익숙해 있는 것과는 상당히 다른 방식을 가지고 노자를 해석했다. 도가와 유가의 주요 관심은 삶인데, 그 주요 차이점은, 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