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관동지역의 디자인 요소로는 초충도, 동해척주비, 관노가면극 캐릭터, 메밀꽃 필 무렵, 관동팔경 등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 이미지는 디자인 ... 새로운 미적 가치를 창출한 디자인이 탄생하였다.임혜숙과 양순영(2014)은 미수 허목의 척주동해비 서체에서 좌우 대칭형, 기하학적 단순형, 정중·장엄형 등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 ... 적 의미와 교육적 메시지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가치가 있으며, 이를 현대적인 방식으로 해석하고 재창조함으로써, 한국의 전통 문화를 세계에 널리 퍼뜨리는 것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서양문화사, 안창모 교수님사학과, 20060349, 김미정강원도 삼척시 정상동 육향산에 위치한 척주동해비는 높이 170. 5 cm에 너비 76cm, 두께 ... 았다고 한다. 그의 예견대로 10년 뒤 허목의 반대 정파의 사람이 삼척 부사로 부임하여 척주동해비를 부숴버렸는데 그러자 바닷물이 다시 고을에 밀려들어왔고 큰 난리로 인해 백성들의 원성 ... 보호 각으로 인해 나무 창살 너머로 본 비석은 무언가 아쉽기 짝이 없었다. 그러나 척주동해비가 가진 내력은 어렸을 적 할머니의 무릎을 베고 꾸벅꾸벅 졸다 잠들 때까지 듣고 또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