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기술보다 큰 시스템적 개념으로 하드웨어를 넘어선 모든 유무형의 지적 산물까지 포함한다. 이러한 테크늄 개념이 가능한 이유는, 생물의 전이 단계와 기술의 전이 단계는 영장류 ... 이다.이 책에서는 '확장된 인간은 테크늄(생각의 생물)이다'라는 동치 관계가 성립된다. 마샬 맥루언은 옷이 사람의 '확장된 피부', 카메라와 망원경은 '확장된 눈'이라고 말 ... 으나, 예방은 오직 안전에만 특권을 부여하기 때문에, 다른 가치들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사실상 안전 자체도 줄인다. 그렇기에 이 책은 기술 낙관론에 좀 더 합리적인 근거를 찾고 싶
수자연수는 유한 집합의 크기를 나타내는 집합수와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수가 있다.1. 집합수집합의 대등관계는 동치관계가 성립한다. 고로 모든 유한집합들을 동치류로 분할해서 그 각각 ... 시켜 생각한다는데 그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러나 짝수와 홀수에 대한 본질적인 개념은 대수적인 관점에서 정수론의 나눗셈 정리(Division Algorithm)에서 그 본질적인 개념 ... 는 정수 전체의 집합이다).위의 정리에 의하면 임의의 정수는 반드시 2q or 2q +1 의 형태로 표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2q 형태의 정수가 짝수이며 2q + 1 형태의 정수
라 하면 집합는 양의 정수 전체의 집합이 되고 자연수 전체의 집합 ?과 서로 같다.를또는로 정의하면 정수의 정렬성에 의하여 정수 전체의 집합 ?는 완전히 결정된다.(3) 집합가 공 ... 집합이 아닌 양의 정수 전체의 집합의 부분집합이면 집합는 최소원을 가진다. 즉,이고이면 모든에 대하여인 원소가 존재한다.2. 음수의 계산 원리정수와 또 정수에 관련된 셈법은 인간 ... 특히 피타고라스 학자에 의하여 정수론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뛰어난 수학자들도 음수 개념을 받아들이는 데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였고 많은 갈등을 겼었다. 비록 오늘날 음수
하게 다루었고, 특히 이러한 형태의 동치류들은 그룹의 성질이 되게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마지막으로 대수방정식이론에서는 그룹의 개념을 명백히 제시하였다.Joseph ... Ⅰ . 서 론19세기의 수학적 학문에는 추상군 이론의 전개에 관한 3가지 역사적 근원 학설로 대수방정식이론, 수 이론, 그리고 기하학이론 있다. 비록 뒤의 두 영역(수 이론 ... 었다. 마찬가지로, F. Gauss는 그의 저서 “Arithmeticae(1800)”(정수론연구)에서 2차형식 {a { x}^{2 }+2bxy+c{ y}^{2 }에 대해 광범위
다.② 집합론에서 순서수로 형식화 되어 초한 순서수로 확장된다.③ 대수적으로 셈수는 Peano의 공리체계로 형식화 된다.(2) 수학적 귀납법의 원리란?① 자연수 열 1,2,3...에서 무엇 ... 자연수 전체와 관련된 전 칭명제를 증명하는 방법인 수학적 귀납법을 수학에 처음으로 도입한 자가 Pascal이다.2) 집합론과 기수(1) 개수 (Euclid 원론)Euclid ... 은 바람직하지 않다. 학생들은 일대일 사상 아래에서의 기수 불변성과 기수 연산의 집합 모델 을 이해하고 이용할수 있어야 하며 보다 높은 수준에 이르면 이를 집합론 식으로 형식
물건을 뽑아내어서 그 집합의 크기를 구함 (집합수)비교 : 두 집합의 크기 비교일대일 대응 : 집합의 대소나 같음을 결정.유별 : 동치류 - 수가 같은 집합을 나열수사와 숫자 지도 ... 을 나타내는 아이디어숫자 : 수의 크기를 기호로 나타낸 것 예> 수 다섯을,,, 5 Ⅴ 五 등..1.1 집합“칸토어” 가 발명한 것, 집합론의 창시자.- 잘 정의된 대상들의 모임이 집합이 ... 기활동4. 하나 더 많은 것 알아보기1.3 자연수의 의미집합수 : 집합에 속하는 원소의 수를 표현(3형제, 과학과는 30명)순서수 : 사물을 늘어놓았을 때 그 차례(달리기 3등, 3남
의 동치류로 정의 된다.+3 = {(4, 1),(5,2),(6,3), .....}0 = {(1,1), (2,2), (3,3), .......}- 3= {(1,4),(2,5), (3 ... ,6), ......}그리하면 N×N={(a,b)|a, b ∈N}에서 동치류로 정의되는 정수가 나타난다.② 귀납적 외삽법예를 들면, 3+(-1)을 설명할 때,3+3 = 6 3+3 ... 으로써 그 동치류를 실수를 구성하고 그 위에 적당히 덧셈과 곱셈을 정의하고 체의 공리, 순서공리, 완비성의 공리를 만족함을 증명함으로써 실수계의 존재성을 보일 수 있다.학교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