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거인 「제랄다와 거인」, 달사람 「달사람」을 환상그림책의 주인공으로 등장 레오리오니도 많은 동물들을 등장시켜 우화적인 환상을 만들어 냄/존 버닝햄,앤서니 브라운,데이비드 ... 가 단순하지 않고 섬세하게 잘 발달된 것이 전승문학의 주인공 묘사와 다른 점이다. 환상동화는 초현실적인 존재나 의인화된 동식물과 장난감이 등장하지만,작가가 그 주인공의 성격을 입체적이고 ... 가 잘 발달되어 있다. 시간적 배경도 매우 융통성게 잘 묘사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존 버닝햄의 「지각대장 존」(4) 주제 환상동화는 다양한 배경과 인물 설정, 플롯 때문에 주제
는 것이다. ‘오스카만 야단 맞아’에서처럼 한 개인 속에 있는 양극성을 보여주며 ‘제랄다와 거인’에서처럼 아이가 어른을 이겨내거나 보듬거나 감화시키면서 평화로운 세상을 만드는 것이 ... 들이 읽기에 알맞게 자작한 문학작품이다. 여기에서 동시, 동화, 소년, 소설 동극 등을 말한다.석용원성인이 아동에게 읽힌다는 것을 강하게 의식하고 창조한 문학이며, 넓은 의미 ... 에게 읽힐 것을 목적으로 창작한 시, 동화, 소설, 희곡 등을 총칭하는 것이다.박민수성인 작가가 어린이 또는 동심을 그리는 성인을 독자 대상으로 전제하여, 미적 가치 판단과 예술성을 기초
서 고평면적이며 전형적이다. 그러나 환상 그림책의 등장인물은 이에 비해 내면 묘사도 섬세하고 입체적이며 복합적이다. 환상 그림책에서 정적 인물이면서 평면적 인물은 「제랄다와 거인 ... 는 모스 있고, 「바바바바 는 마당에서 자란 바바빠빠라는 이상한 생명체에 대한 이 「달지기 소년 은 달의 모양을 매일 관리하는 달지기라는 상상의 인물에 대 기다. 「제랄다와 거인은 아이 ... 적 사건(4)비현실적 시공간(5)옛이야기 형식(6)마법 요소1. 환상 그림책의 본질 및 가치환상이란 지각의 대상을 심적으로 이해하는 일이거나, 현실로 나타나지 않은 것을 상상력을 통하
」와 「제랄다와 거인」은 일반인들이 피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일반인들 속으로 화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그림책으로, 세강도 와 '아이를 잡아 먹는 거인' 이 어떻게 마음 착한 사람들로 변하 ... 들과 달라서 속상해하던 주인공이 자신만의 고유한 가치를 발견하면서 자신에 대해 긍정적이 되는 과정을 그린 그림책들이다.2) 가족과의 관계「장난감 형」, 「터널」, 「달라질 거야」는 형제 ... 너머의 환상 세계에서의 경험을 통해 관계 회복을 이룬 그림책이다. 「달라질 거야」는 동생의 탄 생을 앞두고 집안의 물건들이 초현실적으로 바뀌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동생의 탄생
고 있다. 그래서 어린이 그림이야기책에서는 보기 드물게 뱀, 독수리, 낙지, 사람을 잡아먹는 거인을 등장시켜 [크릭터], [제랄다와 거인]에서 그들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 인식 ... 을 일으킨다. 그러나 아침이 되자 개구리들은 도로에 연잎만을 남기고 원래의 크기로 호수로 돌아간다. 다음 화요일 밤, 이번에는 돼지들이 하늘로 부상하는 것으로 이야기는 끝난다. 독자 ... 동화이다. 동물이나 식물이 사람처럼 옷을 입고 말을 하고 행동하게 하는 것을 의인화(의인화 : anthropomorphic)라고 하며, 이렇게 의인화된 동물이 등장인물로 나오
했다, 오소리네 집 꽃밭, 이야기이야기, 제랄다와 거인,곰 사냥을 떠나자, 안돼 데이빗.* 각 권당 \6,000~8,000원놀이자료 - 격자놀이판활용집(3권+활용자료), 연상능력 ... 는다. “얘들아 도서관이 뭐니?” 아마도 이렇게 물었을 경우 100명의 어린이 중 98명은 그저 “책 읽는 곳이요” 대충은 이렇게 말할 것이다. 나 역시 도서관이란 그저 자료를 찾 ... 거나 책을 읽을 때 필요한 곳이라고만 생각해왔다. 기존의 틀에 박힌 지루한 도서관의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어린이들에게 도서관의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고 너무 어려서 학교도서관으로 하여금
된 편견을 버려야만 모두가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들 수 있다."라는 것이다.⑵ 아동관웅거러의 작품에 나오는 주인공은 혐오스러운 동물이나 거인 그리고 그 상대역으로는 어린 아이(제랄 ... 로움이 있다. 또한 과학이나 기술, 우주 등을 소재로 한 과학적 환상동화를 포함한다.환상동화는 비현실적이라 하여 주제 또한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사실적인 문학에 나타나는 유머 ... 다방면에 걸친 만능 예술사로서 시각적인 매체를 사용하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재능을 보였던 토미 웅거러(Tomi Ungerrer)는 1931년 11월 28일 프랑스 스트라스부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