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자리토와 끼움토로 이름이 바뀐다.2. 자리토와 끼움토자리토란, 그것이 붙은 단어로 하여금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적 자리를 차지하고 일정한 문장론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 ... 고, 단어형태를 매듭짓는 기능을 수행하는 토를 말한다. 끼움토는 단어가 문장 안에서 어떤 문법적 자리를 차지하며 어떤 문장론적 기능을 수행하는가에 관계없이 다만 자기의 문법적 뜻 ... 만을 나타내는 토를 말한다.예) 자리토: 자주성은 인간의 본성적 요구이며 민족의 신성한 권리이며 독립국가의 실재기준이 다.끼움토: 우리들은 앞으로도 위대한 수령님께서 안겨주신 고귀
고 서술토에는 맺음토, 이음토, 규정토, 상황토 등이 이에 속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의 문법적 형태가 문장론적 기능과 관련되는가 안되는가에 따라서 자리토와 끼움토로 구분하는데 이것은 격 ... 조사처럼 문장내의 자리를 표시하는 기능을 따로 구분한 것이다.자리토에는 격토(체언), 맺음토, 이음토, 규정토, 상황토(용언)들이 해당하고 끼움토에는 복수토, 상토, 존경토, 시간 ... 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분류토대상토서술토자리토끼움토격토○○복수토○○도움토○(○)맺음토○○이음토○○규정토○○상황토○○상토○○존경토○○시간토○○강조토(○)(○)○바꿈토(○)(○)(4) 토의
는 '은/는', '도', '만' 등을 가리킨다.이에 대하여 북한은 우리 문법에서 조사와 어미, 선어말 어미, 복수 접미사 등 모두를 토로 본다. 북한 문법의 토는 자리토와 끼움토로 대별되는데 자리토 ... 느냐에 따라: 체언토,용언토,바꿈토③ 문장 내에 일정한 자리를 부여하고 단어형태를 매듭짓느냐에 따라: 자리토,끼움토구 분자 리 토끼움토토예토예대상토격토이/가,에속도전이, 북소리 ... 다, 쓰이다읽으시다, 보시다옳겠다, 바치겠다사람도, 있어도위에서 '자리토' 는 우리의 격조사, 어말어미류이며, '끼움토'는 선어말어미에 해당한다. '복수토', '도움토', '바꿈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