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언급하는 글에서 향가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다. [王素與角干魏弘通 至是常入內用事 仍命與大矩和尙 修集鄕歌 謂之代目] [왕소여각간위홍통 지시상입내용사 잉명여대구화상 수집향가 위지대목] 왕 ... (진성여왕)이 평소에 각간 위홍과 더불어 통정을 하였는데 일이 이에 이르자 그는 늘 궁궐에 들어와 정사에 간여했다. 누차 명하여 대구화상과 더불어 글을 다듬어 향가집을 만들 ... 明師)의 도솔가(兜率歌)가 경덕왕 19년에 지어졌고, 8구체는 고려의 도이장가(悼二將歌)에까지 존속하였다는 사실이 이를 단적으로 입증한다.따라서 현존 향가의 세 가지 형태는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