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뇌로서 아치, 아견, 아만, 아애를 말한다. 작용하는 심소에는 오변행(앞서 얘기한 것)과 혜, 대수번뇌(도거, 혼침, 불신, 해태, 방일, 실념, 산란, 부정지), 사번뇌 모두 ... 에 작용하는 심소별경이란 각각 별도의 대상에 대해 활동하는 마음의 작용을 말하는 것으로, 욕· 승해· 염· 정· 혜의 5가지이다.1)욕- 『성유식론』에서는 좋아하는 대상에 대해 희망 ... 의 작용과 함께한다-촉, 작의, 수, 상, 사(오변행)·촉(대상과의 접촉)- 인식기관, 인식대상, 인식작용 하여 근이 대상으로 향할 때 본래의 모습이 변화한다는 의미·작의(대상
는다"는 뜻이 아니며 별경심소(別境心所)의 5개의 법(法: 의식 작용) 중의 하나인 "승해(勝解)"의 뜻이다.] 승해(勝解)는 심왕(마음 · 주관)이 경(境: 대상 · 객관)에 대하 ... )을 깊이 좋아한다(深樂). 여기서 덕(德)은 불법승 삼보의 진실되고 청정함(三寶眞淨)을 가리킨다. (樂)은 욕(欲)으로 이어지는데, 욕(欲)은, 별경심소(別境心所)의 5개의 법 ... 欲): 능력(能)을 깊이 원한다(深欲). 욕(欲)은, 별경심소(別境心所)의 5개의 법(法: 의식 작용) 중의 하나로, 심왕(마음 · 주관)이 자신이 좋아하는 경(境: 대상 · 객관)에 대하
을 심소(心所)라고 한다. 유식학에서는 변행심소(5가지)·별경심소(5가지)·선 심소(11가지)·번뇌심소(6가지)·수번뇌심소(20가지)·부정심소(4가지)의 51가지 심소를 인정한다.1 변 ... . 세 가지 자성2. 삼성의 관계3. 세 가지 무자성4. 삼성·삼무성설의 의의Ⅳ. 수행문-오위 수행과 전식득지1. 전의2. 오위의 수행단계3. 증과-대열반과 대보리유식학의 중심사상Ⅰ ... 를 식별작용의 주체[心王]와 그에 수반되는 심리 작용[心所]으로 나눈다. 전자에 팔식(八識)이 있고, 후자에 51가지 심소가 있다.또한 존재 구조면에서 팔식은 전식(轉識)과 근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