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릿프루프록의 연가(戀歌)의 부분」-이 시는 엘리어트 자신이 객관적 상관물을 설명하면서 예로 든 작품이다. 이 시에서 ‘수술대 위 마취된 환자’가 바로 객관적 상관물이다. 이 ... 를 엄청난 의문의 장소로안내하려는 음흉한 의도가 고의로꺼내는 지리한 말들처럼 뻗친 곳……아니, 묻질 말라, ‘그게 무슨 말이냐’고.가서 한 번 방문해 보자꾸나.- 엘리어트 「J. 앨
나타난 고립과 소외2. 소통의 부재와 단절3. 내적 자아와 외적 현실의 갈등과 간극4. 타자화(他者化) : 주변인, 프루프록Ⅳ. 결론 ― 인간은 너무 많은 현실을 감당할 수 없다T ... (isolation)소외(alienation)등장 인물의 고립과 소외― 현실에 대한 권태로움, 무기력한 대처수동적인 자기 인식, 세계에 대한 절망적 인식프푸프록의 내적 독백을 통한 소통의 단절